『한국인의 기원』 박정재 “기후변화에 따라서 북방의 유목 및 농경민들이 반복 이주해 한민족 이뤘다” [김용출의 한권의책]
한국인들은 누구이고, 이들은 어디에서 왔을까.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던져봤을 질문이지만, 지금까지 누구도 이에 대해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는 대답을 해주지 않았다. 다만, 북방계의 영향을 받아서 몽골인과 유사하다고 여겨져 왔을 뿐이었다.
하지만 최근 상황이 바뀌고 있다. 고유전학 발전 덕분에 아프리카에서 탈출한 사피엔스가 어떤 경로로 한반도에 이르게 되었는지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 데다가, 고기후학의 데이터들은 사피엔스가 어째서 정주가 아닌 이주를 했는지 합리적인 추론을 가능하게 했다.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인 저자는 책 『한국인의 기원』(바다출판사)에서 고유전학과 고기후학 데이터까지 합치고 여기에 역사학, 언어학 등까지 여러 유관 학문의 데이터를 하나로 엮어서 지금까지 누구도 들려주지 못한 한국인의 기원에 대한 담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저 멀리 아프리카에서 기원해 오랜 세월에 걸쳐서 한반도까지 이주해오고, 다시 반복적인 이주와 정착을 통해 마침내 한국인이 형성되는 유장한 과정을⋯.
책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 출발해 동쪽으로 이동한 호모 사피엔스는 대략 4만 년 전에 동아시아에 도착했다. 하지만 오랫동안 한반도에는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았다. 동아시아의 가장자리에 있고 대부분이 산지여서 먹거리를 구하기 유리한 지형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8200년 전 갑작스럽게 기후가 한랭해졌다. 기후 악화는 아무르강 유역에 모여 살고 있던 수렵채집민이 최성기에 그러했듯이 재차 남하하는 원인이 되었다. 비어 있던 한반도는 북방의 수렵채집민에 의해 빠르게 채워졌다. 강원도 고성과 양양, 그리고 부산의 패총에서 발견된 홀로세 초기의 덧무늬 토기 유물은 그 형태가 아무르강 중상류의 노보페트로프카와 그로마투카에서 출토된 토기와 유사하다. 이는 당시 아무르강 유역 사람들이 추위를 피해 동해안을 따라 이동해 한반도 남동부까지 내려왔음을 시사한다. ⋯한반도에 토기 문화를 처음 전파한 사람들 역시 아무르강 유역의 수렵채집민으로 추정된다.”(247~248쪽)
특히 동북아 지역이 한랭 건조해지는 3200년 전 이후 북방의 사람들이 농경에 좀더 적합한 기후를 찾아서 한반도로 꾸준히 내려온 뒤 한반도에 농경문화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일본으로 건너갔다. 저자는 바로 이 시기에 샤자덴 하층문화 사람들이 물리적 갈등을 피해 한반도에 유입되면서 한국 청동기 시대 중기의 대표적인 문화이자 한반도 최초의 벼 농경 집단이라 부르는 송국리의 수도작 문화를 형성했다고 추론했다.
결론적으로 홀로세 초기 아무르강 유역에서 내려온 수렵채집민 집단과, 홀로세 후기 산둥, 랴오둥, 랴오시 등에서 이주한 농경민 집단들이 기후 변화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이주하면서 한반도의 인구 집단, 이른바 ‘한민족’을 만들었다고 저자는 분석한다. 그 흔적은 현대 한국인과 일본인의 유전체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실제 고인골 DNA를 조사한 결과, 중국이 자랑하는 랴오허 문명의 중심인 훙산 문화나 샤자덴 문화를 일궜던 고대인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현대인은 다름 아닌 한국인으로 조사돼, 한족보다 한반도인이 랴오허 문명의 주축이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북방의 수렵채집민이나 농경민 집단이 남하할 때마다 먼저 와 있던 주민들과 마찰을 빗으면서 한반도 사회는 갈등에 휩싸였다. 그럼에도 새로 이주해온 이들이 가져온 새로운 문화는 순기능을 하기도 했다. 중기 청동기 저온기에는 벼 농경문화가, 철기 저온기에는 동검 문화와 원시 한국어가 차례로 한반도 남부에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화는 한반도 사회가 고대 국가 체제를 갖춰나가는 데 큰 기여를 했다.
한랭한 기후 조건을 이겨내고자 오랜 시간에 걸쳐 한반도에 이주를 해온 한국인들의 조상들. 그들의 후손인 한국인들은 이제 인류세의 온난화와 다시 상대해야 한다. 기상청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산업화 이전 대비 2100년까지 전 지구 평균 기온이 4.3도가 오를 때 한반도는 5.9도, 남한 지역은 5.4도가 오를 것으로 추정했다. 다시 말해서 지금보다 3.8도 상승한다면, 서울 평균 기온은 16.6도가 돼 서귀포의 기온과 비슷해지고 부산 평균 기온은 18.8도가 돼 중국 푸젠성 지역의 기온과 비슷해질 전망이다. 여름철의 폭염은 물론, 겨울철의 가뭄과 산불, 작물 생산량의 급격한 감소, 해수면의 상승, 태풍의 강화, 갑작스러운 폭우 등 수많은 기상 이변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인류가 맞는 위기가 심각하면 할수록 다양성이 갖는 힘은 더욱 빛을 발할 것이다. 미래에 혹시 올지도 모르는 초간빙기와 같은 급격한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방안은 다양성이지 획일성이 아니다. 다양성이 높은 집단이 갑작스러운 충격에 저항력이 크고 교란에 대한 회복력이 강하다는 가설은 생태계와 인간 사회를 면밀히 관찰한 여러 과학자의 혜안에서 나왔다.”(467쪽)
책은 기후라는 한 가지 원인으로 환원해 한민족의 유래를 설명했다는 점에서 다분히 환원론이나 결정론적 사고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겠지만, 그럼에도 한민족 형성 과정을 최신 과학적 연구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담대한 연구가 아닐 수 없다. 옳고 그름을 떠나 담대한 도전에 경의를.
김용출 선임기자 kimgija@segye.com, 사진=바다출판사 제공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처럼 결혼·출산 NO”…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서 주목받는 ‘4B 운동’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내 성별은 이제 여자” 女 탈의실도 맘대로 이용… 괜찮을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단독] “초등생들도 이용하는 女탈의실, 성인男들 버젓이”… 난리난 용산초 수영장
- ‘女스태프 성폭행’ 강지환, 항소심 판결 뒤집혔다…“前소속사에 35억 지급하라”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