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국립대생 학교당 매년 537명 자퇴...부산대 1000명 육박

정옥재 기자 2024. 9. 15. 17: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5년간 국립대학교 가운데 비수도권 국립대 자퇴생 수가 수도권 국립대보다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수도권 소재 국립대에서는 해마다 학교당 239명이 자퇴한 반면 비수도권 소대 국립대에서는 학교당 약 537명이 중도에 학교를 그만뒀다.

비수도권 소재 국립대 자퇴생 비율은 수도권 소재 국립대 자퇴생 수의 배가량을 넘겼다.

최근 5년 기준으로 수도권 소재 국립대생은 한 해 평균 1099명이 자퇴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회 교육위 김대식 의원 국감자료 분석

최근 5년간 국립대학교 가운데 비수도권 국립대 자퇴생 수가 수도권 국립대보다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대식 의원


수도권 소재 국립대에서는 해마다 학교당 239명이 자퇴한 반면 비수도권 소대 국립대에서는 학교당 약 537명이 중도에 학교를 그만뒀다. 부산지역 거점대학인 부산대에서는 해마다 975명이 자퇴했다. 비수도권 소재 국립대 자퇴생 비율은 수도권 소재 국립대 자퇴생 수의 배가량을 넘겼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대식(부산 사상)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아 15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37개 국립대 가운데 수도권에 소재한 5개 국립대 총 자퇴자 수는 5499명(2019년부터 2023년)이었다. 최근 5년 기준으로 수도권 소재 국립대생은 한 해 평균 1099명이 자퇴했다. 한 학교당 약 220명이었다.

반면 최근 5년간 비수도권 32개 국립대 총 자퇴자 수는 8만4521명이었다. 이 기간 한 해 평균 1만6904명이 학업을 중도에 포기했다. 한 학교당 한 해 약 528명이 자퇴했다. 최근 5년간 한 해 평균 자퇴자 수는 강원대학교가 약 1439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경북대 1120명, 전남대 1059명 순이었다.

부산대는 한 해 평균 약 975명, 국립부경대는 약 885명, 국립한국해양대는 약 336명이었다. 부산교대 약 24명, 진주교대 약 47명, 창원대 약 548명, 경상국립대 약 822명이었다. 부산대는 지난해 1060명이 자퇴했다. 2019년 828명보다 232명 많은 수치였다. 국립부경대는 지난해 943명 자퇴해 2019년 824명보다 119명 늘었다. 반면 국립한국해양대의 지난해 자퇴생은 347명으로 2019년 408명에서 61명 감소했다.

교대 자퇴생 수 증가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부산교대의 지난해 자퇴생 수는 지난해 39명이었다. 2019년 13명, 2020년 17명, 2021년 23명, 2022년 29명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진주교대는 2019명 2명에 불과했던 자퇴생이 2020년 17명으로 늘었고 2021년에는 12명, 2022년에는 27명으로 뛰었고 지난해에는 무려 43명이었다.

국립경상대의 지난해 자퇴생 수는 925명이었다. 2019년 785명에서 2022년 800명대를 넘긴 856명을 기록한데 이어 1년 만에 900명대를 초과한 것이다. 창원대는 550명을 기준으로 등락을 거듭했다. 2019년 546명에서 지난해 564명이었다. 창원대는 최근 5년 동안 550명을 기준으로 늘기도 하고 줄기도 하는 모습이었다.

서울교대의 2019년에서 2023년까지 연평균 자퇴생 수는 39명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자퇴생이 89명으로 급증했다. 2019년 자퇴생 수는 11명, 2020년 20명에 그쳤는데 최근 들어 대폭 늘어난 것이다. 전국 교대의 자퇴생 수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였다. 이는 서울교대에서 두드러진 점이 눈에 띄었다. 교대생의 자퇴는 수도권-비수도권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지방국립대일수록 교육의 질과 학생 만족도에 더 신경써야 한다. 자퇴생 수 증가 문제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대학 자구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