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부터 금속, 유리까지… 6년간 수입식품에서 이물질 3345건 나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입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으나 검출된 이물질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수입식품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지고 있는 만큼 더욱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명확한 원인 조사와 함께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업정지 6.7% 그쳐… 박희승 의원, “관리 강화·처벌 수위 높여야”
수입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으나 검출된 이물질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전북 남원·장수·임실·순창)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수입식품 중 이물질 등 위해물질 발견·신고’ 자료를 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최근 6년간 3345건의 이물질이 확인됐다. 종류는 벌레가 869건(26%)으로 가장 많았다. 곰팡이 533건(5.9%), 플라스틱 263건(7.9%), 금속 243건(7.3%), 유리 37건(1.1%) 등이 뒤를 이었다.
국가별로는 중국 수입품에서 위해물질이 제일 많이 신고(776건·23.2%)됐다. 다음으로는 뉴질랜드 331건(9.9%), 미국 294건 (8.8%), 독일 222건(6.6%) 등의 순이었다. 중국 제품은 과자류, 뉴질랜드는 영아용 조제유, 미국은 치즈에서 위해물질이 자주 나왔다.
식약청 조사에 따르면 위해물질 449건(13.3%)은 제조 단계에서 혼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혼입 원인을 객관적으로 확정할 수 없는 판정 불가도 1255건(37.5%)이나 됐다. 또 이물 분실·훼손, 영업소 폐쇄, 신고 취하 등의 이유로 조사가 아예 불가능한 사례 역시 1098건(32.8%)에 이르렀다. 같은 기간 이물 혼입에 대해서는 449건의 행정처분이 내려졌다. 유형은 시정명령 406건이 90.4%를 차지했다. 반면 영업정지는 30건(6.7%)에 그쳤다.
박 의원은 “수입식품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지고 있는 만큼 더욱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명확한 원인 조사와 함께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