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 60% 돌파…배경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3·4분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에서 전세 계약 비중이 60%를 넘어섰다.
1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을 분석한 결과, 올해 3·4분기 전세 계약 비중은 62.5%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비중은 지난해 4·4분기 59.4%에서 올해 1·4분기 58.2%로 줄었다가 2·4분기 59.7%로 늘어난 뒤 3·4분기 들어 60%를 넘어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을 분석한 결과, 올해 3·4분기 전세 계약 비중은 62.5%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비중은 지난해 4·4분기 59.4%에서 올해 1·4분기 58.2%로 줄었다가 2·4분기 59.7%로 늘어난 뒤 3·4분기 들어 60%를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값이 뛰면서 전세 수요가 늘어난 결과다. 여기에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가 전월세 전환율보다 낮아져 대출받아 전세를 얻는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중 갱신 계약(재계약) 비중은 전체 계약의 32.8%를 차지했다.
지난해 4·4분기 28.2%였던 갱신 계약 비중은 올해 1·4분기 31.1%에서 2·4분기에 30.8%로 다소 줄었으나 3·4분기 들어 32.8%로 높아졌다.
전셋값 상승세로 신규 계약보다는 갱신 계약을 하는 임차인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작년 말 대비 3.10% 상승했다. 2022년 말부터 작년 7월까지 전셋값이 10% 가까이(-9.92%) 하락한 것과 비교된다.
이에 비해 갱신권 사용 비중은 작년 4·4분기 32.1%에서 올해 들어서는 30% 밑으로 떨어졌다. 갱신권은 동일 임대인과의 계약 기간 내에 1회만 사용할 수 있고, 2년 추가 거주하면서 임대료 인상률은 5%로 제한된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네버엔딩' 부부 아내 "남편, 엄마와 친언니 성추행해" 충격 주장…진실은
- 이승기 "장인 사건 피해자들에 진심 사과…처가와 관계 단절할 것"
- 20대 女경찰, 男죄수 2명과 성관계…법원 "사랑 유지하기 위한 순진한 마음"
- "총각파티였어"…결혼 준비 중 전 여친과 잠자리한 남편
- '아들과 산책' 홍상수·김민희, 옆 중년 여성 누구?
- "속옷도 없이"…클라라, 마사지 중 드러난 뒤태 '아슬아슬'
- 김혜은 "가부장적 치과의사 남편, 8차선 대로변서 무릎 꿇으라고"
- "100억 줘도 바꾸기 싫다"…'이혼숙려' 故강지용 아내 심경 밝혀
- 김종인 "尹과 절연해야…한동훈만이 민주당 이길 후보"
- 이철규 국힘 의원 며느리도 대마 양성…아들은 구속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