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보드카·브랜디의 진짜 차이는 [명욱의 술 인문학]

2024. 9. 14. 19: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양을 대표하는 증류주는 뭐가 있을까? 아마도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러시아의 보드카 그리고 프랑스의 브랜디인 코냑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스카치위스키는 맥아를 중심으로 한 곡물 증류주를 3년 이상 동안 오크통에 숙성한 것이다. 러시아 보드카는 자작나무 숯으로 여과하는 것이 필수로, 그래서 무색투명함을 자랑한다. 프랑스 브랜디는 과실주를 증류한 것으로, 와인을 증류한 프랑스 코냑 지방 브랜디인 코냑이 유명한 것은 어쩌면 당연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2년 이상의 숙성을 기본으로 한다. 즉 위스키는 곡식 증류주에 숙성, 보드카는 여과를 그리고 브랜디는 과실을 증류한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기준은 언제 생겼을까?

흥미롭게도 스웨덴에서는 1950년까지 곡물 증류주를 브랜디와 유사하게 불렸다. 브랜디의 어원은 영어식으로 보면 번트 와인(Burnt Wine), 즉 구워진 와인이다. 이것이 17세기 네덜란드인을 통해 브랜드바인으로 프랑스 코냑 지방 포도 증류주가 팔리게 됐고, 그것이 이어져 현재의 브랜디(Brandy)가 됐다. 그렇게 이 단어를 포도 증류주에만 사용한 것이 아닌, 우리의 소주처럼 유럽 증류주를 브랜디로 부른 것이다.
과실 증류주인 ‘브랜디’는 과거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러시아의 보드카, 프랑스의 코냑 등 증류주를 뜻하는 용어로 사용된 적이 있다. 우리나라 소주처럼 유럽 증류주를 브랜디라 부른 것이다.
대표적으로 스웨덴은 1950년대까지 브랜빈(Brannvin)이란 단어가 보드카를 대신했다. 즉 곡물로 만든 증류주는 모두 브랜빈이라고 불린 것이다. 같은 스칸디나비아 반도국가인 노르웨이 역시 유사한 단어(Brennevin)을 사용하고 있다. 또 아이슬란드에서도 브레니벤(Breniven)이라는 증류주가 있다. 영어권에서는 진을 만들던 시기에는 곡물 증류주를 콘 브랜디(Corn Brandy)라고 부르기도 했다.
즉 북유럽의 입장에서는 세상의 모든 증류주는 구워진 와인이라고 불렸던 셈이다. 마치 우리의 소주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보드카와 위스키, 그리고 브랜디는 지금의 정체성을 가지게 됐을까?
명욱 주류문화칼럼니스트
정확하게 확장된 시기를 이야기하자면 모두 20세기 초반이다. 위스키는 1909년 영국의 법원에서 맥아를 발효제로 써야 한다는 기준이 나왔으며, 1915년에는 3년 숙성 미만의 증류주는 판매에서는 안 된다는 법안이 나왔다. 러시아 보드카는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보드카 회사 사장인 스미르노프가 파리로 망명, 이후 미국으로 브랜드가 팔리면서 자작나무 숯으로 여과하는 것이 필수가 됐다. 스웨덴은 곡물 증류주도 계속 브랜빈이라고 불렸지만 1979년 앱솔루트 보드카가 스웨덴에서 출시되면서 이제는 보드카와 구분을 짓고 있다.

현재 위스키는 보드카와 구분을 짓기 위해 감자 및 고구마 등의 서류로 만들면 안 된다. 반면 보드카는 오랜 논쟁 끝에 곡물 및 감자, 고구마는 물론 과실로도 만들 수 있게 됐다. 다만 앞단에 해당 과실 이름을 넣어줘야 한다. 포도 보드카, 사과 보드카 등의 이름을 써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고급 보드카는 숙성을 해서 내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이름 뒤에 결국 브랜디란 이름이 베이스가 된 경우가 많다는 것은 흥미를 유발하는 대목이다. 무조건 과실을 증류한 술이 브랜디가 아닌 그냥 증류주의 이름으로 많이 쓰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브랜디의 어원과 가장 비슷한 한국말이 바로 불사를 소(燒), 술 주(酒)의 소주다. 아쉬운 것은 브랜디 및 서양 술은 고급스럽게 마시고 우리의 술은 저렴해저버린 상황이라는 것. 이제 막 100년을 키운 서양의 술처럼 앞으로 우리 술의 100년이 중요한 대목이다.

●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는…
 
주류 인문학 및 트렌드 연구가. 숙명여대 미식문화 최고위과정 주임교수를 거쳐 현재는 세종사이버대학교 바리스타&소믈리에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넷플릭스 백스피릿의 통합자문역할도 맡았으며, 저서로는 ‘젊은 베르테르의 술품’과 ‘말술남녀’가 있다. 최근에는 술을 통해 역사와 트렌드를 바라보는 ‘술기로운 세계사’를 출간했다.

명욱 주류문화칼럼니스트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