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VIBE] 노석준의 메타버스 세상...공상적 사회주의·유토피아

성도현2 2024. 9. 13. 15: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편집자 주 =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2024년 발표에 따르면 세계 한류 팬은 약 2억2천5백만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해 지구 반대편과 동시에 소통하는 '디지털 실크로드' 시대도 열리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한류 4.0'의 시대입니다. 이에 연합뉴스 K컬처 팀은 독자 제위께 새로운 시선으로 한국 문화와 K컬처를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되고자 전문가 칼럼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시리즈는 주간으로 게재하며 K컬처 팀 영문 한류 뉴스 사이트 K바이브에서도 영문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노석준 RPA 건축연구소 소장. 메타버스 및 가상현실 전문가. 고려대 겸임교수 역임

노석준 RPA 건축연구소 소장

아이러니하게도 사람들은 오랜 세월 동안 현실에서 유토피아의 실현을 꿈꿨다. 이에 따라 각각의 시각에서 다양한 제안을 내놓았다. 16세기 초에 토머스 모어로부터 시작된 이상 사회에 대한 제안은 300여년이 지난 19세기 초에 프랑스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에 의해 더욱 발전된다.

토지의 소유로 신분이 세습되던 봉건주의 사회에서 인간은 일부 권력자들의 이익 추구를 위한 착취 대상이었다. 산업혁명으로 봉건제가 무너지고 근대 자본주의로 전환되었지만, 인간의 노동력 착취와 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한 빈부격차는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세기 초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공상적 사회주의(Utopian socialism)'가 탄생했다.

대부분 이론과 관념적 제안에만 머물렀던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의 유토피아는 샤를 푸리에를 통해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제안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후 공산주의, 사회주의에서 건축과 도시, 사회·정치 시스템으로 실체적 모습을 만들어간다.

물론 현재의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국가가 구성원 모두의 평등과 행복을 추구하는 유토피아 본연의 모습에 얼마나 충실한지는 별개의 문제다. 인류가 오랫동안 염원하고 끝없이 희망할 '세상 어디에도 없는 이상향의 행복한 세상'을 현실에서 구현하려는 제도적 시도는 무척 흥미로운 일이다.

게다가 이제 인류는 공간이나 제도 차원의 유토피아를 넘어 디지털 기술로 구현되는 메타버스를 통해 새로운 의미의 유토피아를 창조해나가고 있다.

로버트 오언의 유토피아적 생산 공동체

영국에서도 기독교를 기초로 한 이상 사회의 구현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벌였다. 영국의 대표적인 공상적 사회주의자인 로버트 오언(Robert Owen)은 인간의 행복은 성격과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했다.

로버트 오언은 스코틀랜드의 작은 마을인 뉴 라나크(New Lananrk)의 공장에서 협동 사업체를 설립했으며, 기독교 사상을 기초로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했다. 그가 시도한 여러 가지 이상 사회의 모델은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적 사회 건설과 프랑스 이상적 사회주의자들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이후 미국 신대륙에서 협동 사업체 설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영국으로 귀국한 뒤에도 협동조합 운동과 노동조합 운동을 펼쳤으나 이 또한 그리 성공적이지는 못했다. 하지만 그의 사상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기계처럼 정교한 이론이라고 칭송할 정도로 훌륭했고, 그의 협동조합 모델과 노동조합 모델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로버트 오언의 뉴 라나크 생산 공동체

'뉴 라나크' 생산 공동체는 로버트 오언이 1800년부터 1813년까지 열악한 노동환경을 개선하고 교육과 협동을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을 보여준 커다란 실험실과도 같은 곳이다. 로버트 오언은 인간은 환경의 산물이므로, 물질적 · 도덕적 환경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으로 뉴 라나크 생산 공동체에서 노동 시간의 단축은 물론이고 노동자를 위한 쾌적하고 편리한 숙소, 휴식과 건강을 위한 공공건물 등 당시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여러 유토피아적 시도를 했다.

1968년에 공장의 가동이 멈춘 뉴 라나크는 1974년에 복원됐고, 2001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지금은 매년 4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찾는 명소다.

공장 시설들은 여러 관람 시설로 바뀌었는데, 이동을 위한 나선형 통로 중앙에는 옛 증기기관이 있고 상세한 정보가 벽마다 게시돼있다.

옥상에는 뉴 라나크 전경을 볼 수 있는 옥상 정원(Roof Garden)이 있다. 이곳은 19세기부터 조성된 것은 아니지만 뉴 라나크를 개발하면서 더글라스 콜타트(Douglas Coltart)가 로버트 오언의 환경과 자연에 대한 견해를 기반으로 디자인했다고 한다.

오언은 혁신적인 교육 시스템을 구축한 것으로도 유명한데, 인간의 성격에 환경과 교육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여겼다. 그래서 오언은 뉴 라나크에 아동 교육 시설을 마련했고, 이것은 지금도 '역사적 교실(historic classroom)'로 복원돼있다.

토머스 모어에서 공상적 사회주의까지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에 큰 영향을 받은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은 기독교 사상에 근본을 둔 이상 사회를 세우고자 했다. 그러나 그들의 주장은 너무 관념적이어서 실용성과 현실성이 부족했다. 모두가 바라지만 세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이상 사회 유토피아는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의 관념적 망상에만 머물 위기에 처했다.

대표적인 공상적 사회주의자 중 한 명인 프랑스 출신 생시몽(Saint Simon)은 과학과 산업이 지배하는 사회를 종교적으로 통일시킴으로써 이상 사회를 실현하자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매우 파격적이었지만 관념적인 방향성만 제시했을 뿐 현실적인 실현을 위한 구체적 제안은 뒷받침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 외에도 프랑스의 많은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이 이상 사회 건설을 주장했지만 모두 이론에만 그쳤다. 그런데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의 관념적 상상을 현실에서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 사람이 있었다.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주의자인 샤를 푸리에(Franois Marie Charles Fourier)는 이상 사회를 구체화하는 도구로 건축과 도시를 제안했다.

샤를 푸리에는 자급자족형 유토피아 공동체인 팔랑스테르(phalanstere)를 제안했다. 푸리에가 제안한 팔랑스테르는 이상 사회의 단위로서, 생산을 합리화하고 소비를 절약하는 전형적인 소 생산자 사회였다. 푸리에는 이를 통해 모든 사회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믿었다.

샤를 푸리에의 팔랑스테르

푸리에가 구상한 팔랑스테르에서는 구성원들이 같은 건물 안에 살면서 각자가 제공한 노동의 양에 따라 수입을 분배함으로써 모두가 안정된 생활을 누릴 수 있었다. 일과 생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동생활의 건축 공간이 이상 사회를 완벽하게 작동할 수 있는 장치로 제시된 것이다.

푸리에는 이상적인 공동체 시설인 팔랑스테르를 설계하면서 그 안에서 펼쳐질 구성원들의 생활도 효율적으로 계획했다. 팔랑스테르는 크게 중앙 부분과 두 개의 측면 날개 공간 이렇게 세 부분으로 설계됐다.

중앙 부분은 식당, 도서관, 연구실, 정원 등 주로 공공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공간이다. 한쪽 측면 날개 공간은 작업장, 목공소, 대장간과 같은 시끄러운 활동을 위한 공간이며, 어린이를 위한 단체 시설도 여기에 포함했다. 또 다른 쪽의 날개 공간에는 주민들의 거주 공간, 외부인과의 회의를 위한 연회장과 객실 등을 설계했다.

푸리에는 팔랑스테르의 전체적인 구조 외에도 가족이나 이웃과의 교류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각 공간을 연결하는 설계를 구상했다.

채광과 환기를 위해 통로의 벽을 유리로 만드는 등 공간 내부를 세심하게 고민했다. 또 생산성이 가장 낮다고 평가되는 노동자를 1층에, 가장 높다고 판단되는 노동자를 제일 위층에 거주하게 함으로써 공동체의 생산성 향상까지 고려했다.

한편, 푸리에는 하나의 팔랑스테르에서 공동으로 생활할 사람들에 대해서도 계획을 세웠다. 푸리에는 인간이 810가지의 특성이 있다고 규정했고, 팔랑스테르에서는 저마다의 특성을 가진 남성 810명과 여성 810명, 총 1,620명이 생활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이곳에서는 인간 개개인의 특성이 자유롭게 발휘되고, 일 자체가 즐거움이 될 수 있도록 원하는 일을 원하는 시간만큼 할 수 있도록 했다. 직업은 무엇이든 선택할 수 있으며, 사유재산을 부분적으로 허용함으로써 노동에 활

력을 주고자 했다.

푸리에는 팔랑스테르라는 공동생활 공간의 계획이 모든 사람에게 쾌적한 생활환경과 경제적 평등을 제공해줄 것이라고 믿었다. 그리고 그동안 인간의 상상 속에서만 존재했던 이상향의 세계가 팔랑스테르라는 매우 구체적인 건축 공간 안에서 펼쳐짐으로써 모든 사람이 완벽한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이상 사회가 구현될 것이라고 믿었다.

푸리에는 건축가들이 사용하는 평면과 입면 등의 건축공학적 언어를 사용할 정도로 팔랑스테르가 실제 현실에서 구현되기를 희망했다.

하지만 그의 바람과는 달리 팔랑스테르 역시 하나의 혁신적인 제안에 그쳤다. 물론 푸리에의 이상 사회에 대한 도시 건축학적 제안은 프랑스의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의 관념적이고 가상스러운 제안이 실제 공간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매우 의미 있는 일이었다.

<정리 : 이세영·성도현 기자>

raphael@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