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땅 꺼짐 위험'에 지반침하 고위험 지역 특별점검
하정연 기자 2024. 9. 13. 11:39
▲ 8월 29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 땅 꺼짐 사고 현장에서 복구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달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발생한 땅 꺼짐(싱크홀) 사고 등 지반침하 사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고위험 지역을 정해 중점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오늘(13일) 전문가 간담회를 열어 '지하안전관리체계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는 우선 노후 하수관로 주변, 상습 침수지역, 집중 강우지역 등 지반침하 고위험 지역을 정해 점검 주기를 단축하기로 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지반 침하를 관리하는 주체인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장비, 인력, 예산이 부족한 점을 고려해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인 국토안전관리원이 지반탐사 지원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2천286㎞, 내년 3천200㎞를 탐사할 계획입니다.
고속국도와 일반국도의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해 지하시설물 매립 구간, 하천 인접 구간 등 위험 구간은 2년간 전수조사합니다.
또 조사자가 육안으로 지하 빈 공간(공동)을 판별하는 지금의 분석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공동 분석 인공지능(AI) 표준 모델'을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굴착 공사장의 지반 침하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센서를 활용한 모니터링 체계 연구에도 나섭니다.
지금은 20m 이상 파고 내려가는 굴착공사 때만 착공 후 지하안전조사를 하지만, 앞으로는 연약지반일 경우 10∼20m 굴착공사도 착공 후 지하안전조사를 하도록 합니다.
아울러 국토부는 지반침하 우려지역 정보를 환경부와 공유해 노후 하수관 교체 속도를 높이기로 했습니다.
간담회를 주재한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지반 탐사와 발견된 공동에 대한 신속한 복구가 중요하다"며 "기존의 탐사·복구 위주 관리 방식은 미흡한 측면이 있으므로 예측·예방 중심의 스마트 지하안전관리체계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는 연말까지 관계 부처, 지자체,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며 제2차 국가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2025∼2029년)을 수립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
하정연 기자 h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BS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여성은 사회생활 쉬워 불만"…일면식 없는데 야구방망이로 폭행
- "일거리 찾아봐 줬더니 소개비도 안 줘" 지인 흉기로 찌른 60대
- 낙뢰 맞은 20대 심정지…"믿기 힘든 기적" 의료진이 살렸다
- 난간 앞 아슬아슬…투신 직전 여성 구한 남성 정체 '깜짝'
- 방송 시작했는데 '긁적'…1분 뒤 알아챈 앵커 '화들짝'
- 비타민 통에 1억 원…간 큰 공무원 딱 걸렸다
- "1등급 한우 100%"라더니…1만 3천 명 속인 쇼핑몰 결국
- "맨홀 뚜껑이 뻥 하고 날아왔다"…추석 앞두고 폭우 강타한 울릉
- "국산입니다" 국방부 속았다…전방 부대 CCTV 1,300여 대 철거
- 민간 우주유영 시대 열렸다…730㎞ 상공 홀로 선 미 억만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