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고대도 프로 1명을 못 보냈다' 대학야구 드래프트 전멸, 왜 이런 참사가 일어났나

김용 2024. 9. 13. 06: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1일 롯데호텔 월드 서울에서 열린 2025 KBO 드래프트, 각 구단에 지명된 선수들이 허구연 KBO 총재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24.09.11/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충격적인 전멸 사태, 도대체 4년제 대학 야구에 무슨 일이.

2025 KBO리그 신인드래프트. 총 1197명의 선수가 프로 무대 도전장을 던졌지만 단 110명의 선수만 팀들의 지명을 받았다.

프로의 세계는 냉정한 곳. '매의 눈' 스카우트들의 눈은 정확하다. 가능성이 있고, 없고가 명확히 갈린다. 그래도 지명을 받지 못한 선수와 가족들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는 건 쉽지 않다.

이번 드래프트에는 충격적인 결과가 숨어 있었다. 110명 중 대학 4학년 선수는 단 1명도 지명을 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야구계 중심에 있었던 사학 명문 연세대, 고려대도 단 1명의 선수를 프로 선수로 만들지 못했다.

110명 중 대학 선수는 단 16명 뿐이었다.

이도 2020년부터 생긴 각 구단 대학 선수 1명 의무 선발 때문에 인원이 채워졌다고 봐야 한다.

그런데 16명의 선수들 중 4년제 대학 선수는 한화 이글스 8라운드 지명을 받은 투수 엄상현(홍익대), SSG 랜더스 10라운드 선택을 받은 한지헌(경희대) 뿐이다. 그런데 왜 전멸이냐고 봐도 되냐면 이 두 선수는 모두 '얼리 드래프트' 도전장을 던진 선수들이다. 다른 2년제 대학 선수들과 똑같이 2년만 대학 생활을 하고 프로 진출을 선언한 경우다. 나머지 14명은 모두 2년제 대학 선수들이었다.

11일 롯데호텔 월드 서울에서 열린 2025 KBO 드래프트, 드래프트에 참가한 선수들이 행사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24.09.11/

대학야구 위기 얘기는 오래 전부터 나왔지만, 이렇게 참혹한 결과가 나온 적은 없었다. 2020년 드래프트 때는 2라운드 KT 천성호(단국대) 3라운드 SSG 최지훈(동국대) 5라운드 LG 유영찬(건국대) 롯데 황성빈(경남대) 등 많은 대학 선수가 뽑혔고, 현재 1군에서 활약중이다.

2021년에는 2차 1라운드에서 박건우(고려대) 권동진(원광대) 2명의 상위 순번 선수가 나오는 등 즉시 전력감이 많았다. 2022년에는 심지어 키움 히어로즈가 1차지명으로 성균관대 투수 주승우를 선택했다. 지난해 역시 연세대와 고려대 포함, 많은 대학 선수들이 프로 무대에 진출했다.

올해는 왜 갑자기 이런 충격적 사태가 발생한 것일까.

A구단 스카우트는 "먼저 올해 유독 대학 선수 자원이 약했다는 평가가 많았다"고 했다.

하지만 이 문제에 원인이 있었다. 이 스카우트는 "입시 제도가 바뀌며 서울 대학 야구팀들이 좋은 선수를 뽑을 수가 없는 구조다. 애초에 좋은 선수가 들어오지 않으니, 전력은 약화되고 선수도 눈에 띄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11일 롯데호텔 월드 서울에서 열린 2025 KBO 드래프트, 10개 구단의 모자가 전시되어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24.09.11/

무슨 얘기일까. B구단 스카우트는 "수도권 4년제 대학 야구부는 입학할 때 개인 성적, 학업 성적, 고교팀 성적이 모두 필요하다. 야구를 잘하면 학업 성적이 부족하고, 학업 성적으로 들어오는 선수들은 야구 실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A구단 스카우트는 "4년제 대졸 선수를 프로팀이 뽑는다는 건 즉시 전력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최근 대학 4학년 선수들 중 즉시 전력감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최근 달라진 트렌드도 한몫 했다. 프로 지명을 받지 못한 고교 선수들은 그래도 4년제 대학을 우선시 했다. 좋은 대학을 나왔다는 자부심도 있고, 4년간 체계적으로 실력을 쌓을 수 있다는 믿음에서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야구로 승부를 볼 선수라면 오히려 2년제 대학을 선호한다. 최근 취업률이 높은 동원과학기술대, 부산과학기술대 등으로 방향을 트는 것이다. 4년의 시간을 써버리면 군 문제 등으로 인해 오히려 프로팀 외면을 받을 거라는 계산을 한다. 2년 동안 자신이 부족하다고 지적받은 것들을 집중 보완해 도전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이다.

그래서 4년제 대학들이 위기를 탈피하고자 만든 게 '얼리' 제도였다. 2년제 대학으로 향하는 선수들의 마음을 돌리고자 하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이미 2년제 대학들의 기세가 대단하고, 4년제 대학으로 가는 자원 자체가 좋지 않으니 '얼리' 제도도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게 현장 평가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