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전체 절반이 65세 이상 ‘고령 가구’
‘1인 가구’ 1000만명 육박…독거노인 증가, 정책 반영 목소리
약 30년 뒤 65세 이상 ‘고령 가구’가 전체 가구의 절반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인 가구는 계속 증가해 30년 뒤 1000만가구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됐다. 결혼이 줄고 고령화로 독거노인이 늘어나는 영향 등으로 고령 1인 가구를 위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장래가구 추계(2022~2052년) 결과’를 보면 총 가구 수는 2022년 2166만4000가구에서 2041년 2437만2000가구로 정점을 찍고 이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52년 총 가구 수는 2327만7000가구로 전망됐다. 총인구가 2020년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는데도 이후 상당 기간 가구 수가 늘어나는 셈이다.
이는 1인 가구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1인 가구는 2022년 738만9000가구에서 2052년 962만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2022년 34.1%에서 2052년 41.3%로 늘어난다. 2인 가구 비중도 같은 기간 28.6%에서 35.5%로 증가한다. 평균 가구원수는 2022년 2.26명에서 2052년 1.81명으로 줄어든다.
반면 4인 가구 비중은 같은 기간 14.1%에서 6.7%로 반토막날 것으로 예측됐다. 3인 가구도 2022년 19.3%에서 2052년 15.2%로 비중이 감소한다.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가 줄어드는 ‘핵가족화’ 현상에 따른 것이다.
전체 가구 중 부부·자녀 동거 가구 비중은 2022년 27.3%에서 2052년 17.4%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가구주 연령별로 보면 65세 이상이 가구주인 고령 가구는 2022년 522만5000가구에서 2052년 1178만8000가구로 230% 늘어난다. 전체 가구 중 차지하는 비중도 24.1%에서 50.6%로 껑충 뛴다. 2022년에는 40~50대 가구주가 전체 가구의 41.8%를 차지했으나 2052년에 비율이 역전돼 70대 이상 가구 비중이 41.5%로 가장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1인 가구의 고령화도 뚜렷해진다. 2022년 기준 1인 가구 중 30대 이하 비중이 36.6%(270만7000가구)로 가장 높다. 그러나 30년 뒤에는 70대 이상 1인 가구가 42.2%(406만3000가구)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혼 부부·동성 연인 등으로 구성된 비친족가구는 2022년 50만가구에서 2052년 81만1000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전체 가구 중 차지하는 비중도 2.3%에서 3.5%로 늘어난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1인 고령 가구는 경제적·정서적으로 취약할 가능성이 높은 집단으로, 기초연금을 저소득 1인 고령 가구에 집중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통령실 “김 여사, 다음 순방 동행 않기로”…이후 동행 여부는 그때 가서 결정
- 명태균 “청와대 가면 뒈진다고 했다”…김건희에게 대통령실 이전 조언 정황
- 김예지, 활동 중단 원인은 쏟아진 ‘악플’ 때문이었다
- 유승민 “역시 ‘상남자’···사과·쇄신 기대했는데 ‘자기 여자’ 비호 바빴다”
- [제주 어선침몰]생존자 “그물 들어올리다 배가 순식간에 넘어갔다”
- [트럼프 2기] 한국의 ‘4B’ 운동이 뭐기에···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서 관심 급증
- ‘프로포폴 불법 투여’ 강남 병원장 검찰 송치···아내도 ‘중독 사망’
- 서울대 외벽 탄 ‘장발장’···그는 12년간 세상에 없는 사람이었다
- 주말 서울 도심 대규모 집회…“교통정보 미리 확인하세요”
- 조훈현·이창호도 나섰지만···‘세계 유일’ 바둑학과 폐지 수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