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이름 [말글살이]

한겨레 2024. 9. 12. 14: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번 추석에는 그의 옆에 가만히 앉아 '그의 이름'을 불러보시라.

그걸 또렷하게 알 수 있는 건 죽은 이의 이름.

그런데도 이름은 죽은 이와 살아 있는 이를 이어주는 가느다란 끈이다.

그만큼 우리는 이름에 사로잡혀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말글살이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둔 2023년 10월21일 서울광장 분향소에서 한 시민이 손 모아 기도하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이번 추석에는 그의 옆에 가만히 앉아 ‘그의 이름’을 불러보시라.

이름은 인간의 독특함과 나약함을 동시에 보여주는 장치이다. 이름은 켜켜이 쌓인 한 사람의 우여곡절을 한꺼번에 담는 상자. 그러곤 상자만 애지중지하게 되지.

(한겨레 ‘오늘의 스페셜’ 연재 구독하기)

그걸 또렷하게 알 수 있는 건 죽은 이의 이름. 망자의 이름이란 얼마나 허전하고 허망한가. 그런데도 이름은 죽은 이와 살아 있는 이를 이어주는 가느다란 끈이다. 장례식이나 차례상에 적힌 망자의 이름을 바라보는 일은 ‘부재의 고유성’. 다시 말해 누군가가 ‘없다’는 건 그냥 똑같이 없는 게 아니라 ‘고유한 없음’ ‘저마다의 없음’이라는 감각을 갖게 한다.

우리는 죽은 이의 이름을 신성시한다. 장례식에서 제일 중요한 건 이름이다. 운구를 할 때 맨 앞에 서는 것도 위패다. 육신은 사라지고 이름만은 남아서겠지. 산 자는 죽은 자가 아니라 이름을 따른다. 이태원 참사 때 차려진 분향소에 사람들이 분노한 것도 위패의 부재, 즉 이름의 부재 때문이었다. 분노라기보다는 당혹감 같은 거였지. 위패 없는 분향소에서 나는 제대로 애도를 하고 있는 건가? 이 눈물은 망자에게 닿을 수 있는 건가? 죽은 이들의 영혼이 여기에 와 있기나 한가? 하는 혼란스러움 같은 거였다. 그만큼 우리는 이름에 사로잡혀 있다.

죽은 이의 이름을 부른다는 건 일종의 일방적인 고백일지도 모른다. 이름을 부르면 그 순간 하늘 어딘가에 자리 잡은 좌표처럼, 손에 닿지 않게 무심하고 무덤덤하게 외롭고 쓸쓸하게 나와 무관하게 뒤도 돌아보지 않아도 좋으니, 그래도 거기 ‘있으라는’, 최소한의 고백, 최대한의 요구.

죽은 이의 이름으로 생사 앞에 선 인간의 실존적 고독감을 만끽할 수 있다면, 이 얼마나 풍성한 한가위 명절이 아니겠는가.

김진해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