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 수시, 10월2일까지 1차 원서 접수…“높은 경쟁률 겁먹을 필요 없어”
1차 12만2897명 선발…2차보다 4배 많아
2차 원서 접수 기간은 11월8일부터 22일
고학력 청년 실업난이 사회 문제로 대두된 가운데 취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 전문 직업인을 양성하는 전문대는 최선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의 도움말로 2025학년도 전문대 수시 선발 특징을 알아봤다.
전문대학 수시 모집은 1차와 2차로 나뉘어 진행된다. 수시 1차 원서 접수는 9월9일부터 10월2일까지 대학별로 시행된다. 수시 2차 원서 접수는 수능시험일 전후인 11월8일에서 11월22일 사이에 시행된다.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이하 전문대교협)에 따르면 수시 1차 선발인원은 12만5053명(81.4%)으로 2차 선발인원 2만8615명(18.6%)에 비해 4배 이상 많은 인원을 선발한다는 장점이 있고, 수시 2차는 수능시험을 치른 이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시 경쟁력을 확인하고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대는 수시 6회, 정시 3회의 지원 횟수 제한이 있지만 전문대는 수시, 정시 모두 지원 횟수에 제한이 없다. 다만, 전문대 수시에 합격하면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일반대와 전문대 모두 정시모집과 자율(추가)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 우연철 소장은 “전문대와 일반대 모두 고려하고 있다면, 수시 지원에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대학에는 일반대학에 비해 특성화고 학생들도 지원을 많이 한다. 이에 각 고교 유형 사이에는 교과과정의 차이가 있어서 출신 고교유형에 따라서 전형을 구분해 선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동양미래대는 수시 1차에서 일반고전형 999명, 특성화고전형으로 208명을 선발한다. 이렇게 구분해 선발하기 때문에 전형별 입시 결과에도 차이가 있다.
우연철 소장은 “작년 동양미래대 수시 1차 일반고전형의 커트라인은 평균 6.2 등급이었지만 특성화고전형은 평균 4.2 등급이었다”며 “과거 입시결과를 확인할 때는 해당 전형이 어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형이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문대학은 지원 횟수에 제한이 없는 만큼 학생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보건계열과 같은 모집단위는 경쟁률이 매우 높게 나타난다. 그만큼 충원합격이 많이 이뤄지므로 높은 경쟁률에 너무 겁먹을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전문대학은 동일한 전형으로 복수의 전공에 지원 가능한 곳이 있으므로 지원 전 각 대학의 수시요강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전문대학은 학생 선발 시, 성적이 우수한 일부 학기만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서울지역 전문대학 중 동양미래대를 비롯한 7개 대학은 1학년 1학기부터 3학년 1학기까지 총 5개 학기 중 우수한 2개 학기의 성적만을 반영(동양미래대: 졸업생의 경우 3학년 2학기 반영 가능)한다. 삼육보건대학은 2학년 1, 2학기, 3학년 1학기 총 3개 학기 중 우수한 2개 학기 성적을 반영한다. 명지전문대는 학년별로 우수한 1개 학기의 성적을 반영한다.
우연철 소장은 “대학마다 학생부 반영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각 대학 방식의 경쟁력을 확인하고 내 성적을 가장 유리하게 평가하는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합격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전문대학 수시의 경우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지 않지만, 일부 대학은 간호학과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삼육보건대, 서울여자간호대, 서일대, 대구보건대, 조선간호대, 영진전문대, 영남이공대 등이다. 따라서 간호학과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면 수능최저기준 충족 가능성을 확인해야 한다.
우연철 소장은 “전문대학의 경우 대학별로 교과 반영 방법이 다양하다”며 “내 성적을 각 대학의 반영 방식으로 바꿔 보고 경쟁력을 확인한 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전문대학 진학을 고민한다면 지원 희망 대학 누리집, 전문대교협이 운영하는 전문대학 포털(프로칼리지, www.procollege.kr)과 누리집(www.kcce.or.kr)을 참고하면 유용하다. ‘2025학년도 수시모집 주요 사항’뿐만 아니라, ‘전문대학 전공별 입학상담 자료’ ‘전문대학 지역별 입학정보’ 등 각종 진학정보 자료가 망라돼 있다.
김미영 기자 kimmy@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당정, 의대증원 이견 여전한데…한동훈 “추석전 협의체 출범해야”
- [단독] “야간작업 사고나면 누가 책임지죠” 대화 7분 뒤 하청 노동자 사망
- “내가 정권 잡으면”…민간인 김건희의 ‘대통령 행세’는 계속된다
- ‘트럼프가 미끼를 물었다’…“3 대 1로 싸웠다” 화풀이도
- 뉴진스 “민희진 전 대표 25일까지 복귀시켜라”…하이브에 최후통첩
- 삼성전자, 허리 숙였다…‘폭염 사망’ 에어컨 설치기사 유족에 사과
- 돈줄 끊긴 TBS, 자구책 묶어둔 방통위…이대로 문 닫나
- 7800만원 내놓더라도…경찰대 조기퇴직자 최근 5년 새 121명
- 무심코 버린 치토스 한 봉지…미 동굴 국립공원 생태계 ‘휘청’
- 불나자 할머니 안고 뛰어내렸던 그 손자…“돌아가신 줄 모르고 안부만 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