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대통령 누가 되든 관세 인상 … 인플레 자극 여부는 팽팽

박윤예 기자(yespyy@mk.co.kr) 2024. 9. 11. 18: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년 세계경제 어디로
對中 수출통제 정책 등
美경제 로드맵 그대로
연준 통화정책이 관건
S&P500 ETF 전성시대
내년도 이어질진 미지수
대형주 이미 고평가 국면

◆ 세계지식포럼 ◆

11일 매일경제 주최로 열린 제25회 세계지식포럼 '이코노미 아웃룩 2025' 세션에서 마이크 로젠버스 IESE 교수, 프레드리크 에릭손 ECIPE 공동창립자, 윌리엄 리 밀컨연구소 수석이코노미스트, 차오이더 상하이개발연구재단 부회장과 함께 마르틴 레드라도 전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총재(왼쪽부터)가 발언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미국 대선이 예측하기 어려운 흐름으로 접어들면서 글로벌 경제 전망도 미궁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누가 대통령이 되든 미국 정부가 관세를 인상할 것이라는 점에 동의했지만 그 결과에 대해선 다른 예측을 보였다. 11일 세계지식포럼 '이코노미 아웃룩 2025' 세션에서 연사로 나선 윌리엄 리 밀컨연구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경제학원론에서 관세는 무역 생태계를 파괴하고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끔찍한 것으로 배운다"면서도 "하지만 우리는 교과서가 가정한 자유무역 세계에 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 관세는 이익마진으로 흡수되면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반면 프레드리크 에릭손 유럽국제정치경제센터(ECIPE) 공동창립자 겸 디렉터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세운 관세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지금껏 관세는 양자적으로 이뤄져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높이면 다른 국가에서 수입이 늘어나면서 균형을 맞추는 구조였다"면서 "하지만 트럼프는 대중 관세 60%와 보편 관세 10%를 물리려 하기 때문에 이는 인플레이션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차오이더 상하이개발연구재단 부회장은 중국 입장에서 세계 경제를 전망했다. 그는 올해 중국 정부의 목표인 '5% 성장률'에 대해 달성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중국 부동산 거래량이 크게 줄어 지방정부 수입도 감소했다"며 "중국 소비를 살리기 위해 재정정책을 확대해야 하지만 지방정부의 이른바 '숨겨진 부채'는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차오이더 부회장은 향후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변수로 미국 대선보다 중앙은행인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전환에 주목했다.

그는 "누가 미국 대통령이 되든 고관세율과 수출 통제 위주의 미국 대중 정책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하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도 금리를 인하할 여유가 생겨 중국 경제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과감한 통화정책 전환이 이뤄지면 금리 격차가 줄어 자본 유출 위험성이 현저히 해소되기 때문이다. 에릭손 공동창업자는 유럽 경제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그는 "유럽에서 3분의 1을 차지하는 독일 경제를 비롯한 유럽 경제는 장기나 단기적으로 경제 침체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경제 전망이 어려운 만큼 재테크 시장에서도 당분간 변동성이 큰 시기가 이어질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이날 열린 '2025 재테크 전략' 세션에서는 패시브 투자, 액티브 투자, 인컴 투자 등 다양한 투자 전문가들이 모여 현 상황에 대해 적절한 전략을 논의했다.

이들은 최근 몇 년간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가 최고의 투자처였다는 점에 동의했다.

슈테펜 쇼이블레 솔랙티브 최고경영자는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사고파는 액티브 투자의 85%가 S&P500지수의 수익률에 미치지 못했다"며 "최근 몇 년 동안은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게 답이었고, 이는 전 세계적으로 대대적인 투자 트렌드가 됐다"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추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인지에 대해선 확신하지 못했다.

윤제성 뉴욕생명자산운용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앞으로 1년 동안 변동성이 크고 잠재적으로 불안정한 시기가 될 것"이라며 "미국 대형 주식이 고평가 국면에 진입한 만큼 이제는 S&P500지수에서 벗어날 때가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윤 CIO는 "앞으로 1년 동안 변동성이 커지면서도 대대적인 경기 침체에 진입하지 않는다면 기회가 열릴 것"이라며 "고수의 영역이지만 최근 많이 어려웠던 상업용 부동산에서도 향후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스티븐 통 프랭클린템플턴 수석부사장은 금리 인하기 채권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봤다. 그는 "향후 미국의 기준금리의 경로가 불확실하지만 채권은 자산 포트폴리오에 매력적인 수익을 제공하고, 하락장에서 손실을 줄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박윤예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