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 성능 UP···新고분자 자기조립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신소재의 성능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포스텍은 김연수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한지훈 박사 연구팀이 조앤 엠마 시어 미국 캘리포니아대 샌타바버라캠퍼스(UCSB) 화학·생화학과 교수, 이은지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고분자 자기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결함 문제를 해결하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하이드로젤 네트워크'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료 등 신소재 합성에 응용 기대
국내 연구진이 신소재의 성능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 성과가 의료·2차전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신소재 합성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김연수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한지훈 박사 연구팀이 조앤 엠마 시어 미국 캘리포니아대 샌타바버라캠퍼스(UCSB) 화학·생화학과 교수, 이은지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고분자 자기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결함 문제를 해결하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하이드로젤 네트워크’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액틴·콜라겐·뮤신 등 생명체를 이루는 고분자 물질들은 스스로 모여 집합체를 이루는 자기조립을 통해 제기능을 발휘한다. 고분자들이 일종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셈이다. 산업계도 이 같은 정교한 네트워크를 모방해 신소재를 합성해왔지만 기존 고분자 네트워크 기술은 고분자들이 서로 얽히고 꼬이는 등 구조적 결함을 가졌고 이에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연구팀이 고안한 하이드로젤 네트워크는 서로 반대 전극의 전하를 가진 고분자들로 이뤄졌다. 고분자들이 전기적으로 서로 강하게 끌어당기기 때문에 기존보다 더 견고하고 규칙적인 네트워크를 이룰 수 있다. 연구팀은 해당 네트워크 기술로 ‘네트머’라는 새로운 자기조립 집합체를 만들고 성능을 확인하는 데도 성공했다. 기존 대비 저장탄성률 11.5배, 연신율 3배 등의 성능 향상을 이뤘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김 교수는 “새로운 하이드로젤 형성 기술은 실용성과 범용성이 매우 높다”며 “의료와 생체재료·환경·첨단산업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산업 분야에서 연성 재료로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수 기자 sookim@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관자 되지 않을 것'…'안세하 학폭' 폭로자 추가글→동창들 잇따라 증언
- '온몸에 다닥다닥, 이런 건 처음 봤다'…제주 낚싯배 덮친 '이것' 원인은 폭염?
- '너, 우리 애 가스라이팅했지?'…14세 딸 남친 흉기로 찌른 30대 엄마 '현행범 체포'
- “생후 45일 강아지 택배로 보내드려요”…쿠팡에 뜬 반려견 해외배송 판매 글
- ‘연수입30억’ 과즙세연…방시혁과 포착 때 입은 ‘이 옷’ 단돈 9500원?
- '삼성, 애플 떨고 있니'…세계 최초 '두 번' 접는 트리플폴드폰, 선 주문만 무려
- '유리 조각으로 위협'…안세하, 학폭 의혹에 소속사 '사실무근'
- '3000만원 주고 순위 높여'…영탁 前 소속사 대표, '음원 사재기' 혐의 인정
- '두피 화상에 고름까지 차'…'나는 솔로', 땡볕 촬영 속 출연자 학대 논란
- '2살 연상 두산家 박상효와 열애설' 이강인, 어깨 감싸 안고 '파리 데이트' 전격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