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기업 18% “퇴직 후 재고용” 10곳 중 4곳은 ‘정년 연장’ [심층기획-2차 베이비부머 은퇴 쓰나미]
국민 여론 86%도 연장에 ‘찬성’
반대 기업 ‘인건비 부담’ 이유 꼽아
‘만 65세까지 연장’ 압도적 여론에도
정년제 운영 기업 60%는 “계획 없다”
경영계 “계속고용, 임금체계 개편돼야”
방식은 ‘정년 연장’보다 ‘재고용’ 선호
정부, 경사노위 통해 ‘계속고용 로드맵’
‘계속고용 장려금’ 지원 확대·요건 완화
“보조금 제도론 장기적 정책 대응 한계
정년 연장 방안이 보편적인 혜택 확산”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업체 성원환경은 올해 5월 임금 및 단체협약에서 정년을 65세로 연장하기로 했다. 2022년 정년을 법적 정년인 60세에서 62세로 연장한 데 이어 단계적으로 정년을 높인 것이다. 성원환경의 직원 210명 중 55세 이상은 40%에 달한다. 이 때문에 젊은 직원들의 반발도 없진 않았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요구해 온 사측을 설득하는 일도 큰 과제였다.
장경술 성원환경 노동조합위원장은 10일 “환경 노동자들은 타 업종보다 노동 강도가 강해 사측에서는 정년 연장에 따른 업무 지장 우려가 있었는데, 노조 내에서 청년층을 먼저 설득했고 조합원들의 사기 진작을 근거로 내세워 동일임금을 적용하는 정년 연장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장 위원장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입찰을 받아 생활폐기물 수집·운반하는 업체가 전국에 1800여곳인데 성원환경의 정년 연장 소식에 노하우 문의가 쇄도한다”고 웃으며 말했다.
실제 세계일보 취재 결과, 정년제를 운영하는 기업 10곳 중 6곳은 정년 연장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건비 부담’과 ‘고령자는 업무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가 절반을 훌쩍 넘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이달 발간할 예정인 ‘정년제 계속고용제도 실태조사’에 따르면 5인 이상 사업체 중 정년 제도가 있는 기업은 31.2%, 나머지 68.8%는 정년 제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사업장의 86.7%는 정년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조사는 5인 이상 사업체 3066곳을 표본 추출해 지난해 11월15일부터 12월5일까지 진행됐다.
◆경영계 ‘인건비 부담’에 반대 고수
정년 연장 계획이 없다고 답한 기업에 그 이유를 묻자 ‘인건비 부담 증가’(27.0%)가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사업장 업무가 고령자와 맞지 않아서’(26.9%), ‘고령자의 생산성 하락’(19.0%) 등이 거론됐다.
하지만 국민 여론은 정년 연장 ‘찬성’이 압도적이다. 올해 5월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전국 18세 이상 100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법정 정년을 단계적으로 만 65세까지 연장하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는 의견이 86%로 ‘반대한다’(11%)는 응답을 압도했다.
기업들은 정년 연장을 택할 바에 재고용에 나서겠다고 했지만, 재고용에 마냥 긍정적인 건 아니다.
한국고용정보원 실태조사에서 기업들은 재고용에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 퇴직 후 재고용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은 17.5%, 운영하지 않은 기업은 82.5%였는데 재고용 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기업들은 재고용 제도 운영 계획에 대해 80.9%가 ‘운영할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경영계는 정년 연장, 재고용 등 계속고용 논의를 위해 임금 체계 개편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임영태 한국경영자총연합회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임금 체계가 개편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령자 계속고용 논의는 기업에 부담을 준다”며 “계속고용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임금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취업규칙 변경 절차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밝혔다.
‘세대 갈등 불씨’도 정년 연장 논의의 셈법을 복잡하게 하는 요소다.
정년 연장을 둘러싼 노사 간 견해차가 극명하게 갈리는 가운데 60세인 법정 정년을 연장하는 논의는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서 이뤄지고 있다. 경사노위는 6월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계속고용위원회’를 발족했다. 정부는 경사노위를 통해 노사가 논의하면 여론을 수렴해 하반기 계속고용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다.
최근 정부가 국민연금 의무가입기간을 59세에서 64세로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하면서 속도를 낼 필요성은 더 커졌다.
정년 연장 등 노동개혁이 우선돼야 한다는 반응도 지배적이다. 한국노총은 연금개혁안에 대해 “지금도 국민연급 수급시기까지의 소득 공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모든 노동자에게 적용되는 보편적 정년 연장만이 해결책”이라고 논평했다.
정부는 정년 연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안을 내놓진 않았지만, 기본적으로는 계속고용을 독려하는 입장이다.
고용노동부의 ‘계속고용장려금’ 제도도 그 일환이다. 2020년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정년 연장, 정년 폐지, 재고용 형태로 중장년층 근로자를 계속고용한 중소·중견기업 사업주에게 근로자 1명당 월 30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이다. 지난해까지 최대 2년간 지원받을 수 있었는데 근로자 1명당 최대 3년간 1080만원(분기별 90만원씩 1년간 360만원)으로 올해 지원이 확대됐다.
정부가 지원을 늘려줬는데도 수혜 인원은 올해 되레 줄었다.
개편안의 기본 골자는 ‘요건 합리화’다. 현재는 정년에 도달한 근로자가 5명이고, 계속근로 희망 인원이 3명일 때 3명을 전부 재고용해야만 장려금을 받을 수 있다. 개편안은 희망자 중 일부만 재고용해도 장려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승호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보조금 제도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계속고용 장려금은 특정 기업이 계속고용제도를 도입한 시점부터 받는 보조금으로, 장기적인 정책 대응으로 보기 어렵다”며 “지원 규모도 전체 정년퇴직자 규모를 고려하면 미미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고령자의 인적 자본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일자리로의 재취업보다 주된 일자리에서 고용 연장이 우선돼야 한다”고 했다.
김성희 L-ESG 평가연구원 원장도 △정년 폐지로 늦게까지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퇴직 후 재고용하는 방안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 중 마지막인 연장 방안이 보편적인 혜택을 확산하는 데 가깝다고 분석했다. 김 원장은 “법적 정년 65세를 연금 수급 개시 연령에 맞춰 연장하면서 동시에 70세까지 재고용 촉진 제도를 만들되 권고하는 수준을 넘어 보호 장치와 촉진 장치를 갖추는 것을 해법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지민·이진경·안용성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입 벌리고 쓰러진 82살 박지원…한 손으로 1m 담 넘은 이재명
- 회식 후 속옷 없이 온 남편 “배변 실수”→상간녀 딸에 알렸더니 “정신적 피해” 고소
- 일가족 9명 데리고 탈북했던 김이혁씨, 귀순 1년 만에 사고로 숨져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