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시장 1위 제품 D램 등 4개뿐... 한 계단 떨어진 4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기업이 지난해 주요 산업 상품·서비스 품목 71개 중 4개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0일 보도했다.
닛케이가 자체 분석한 '2023년 주요 상품·서비스 세계 시장 점유율'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기업은 D램 반도체, 낸드플래시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초박형 TV 등 4개 품목에서 세계 1위에 올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D램 반도체·OLED 패널 등 4개 품목서 1위
한국 기업이 지난해 주요 산업 상품·서비스 품목 71개 중 4개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0일 보도했다. 삼성전자는 2022년 스마트폰 분야에서 1위에 올랐지만, 지난해 미국 애플에 1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닛케이가 자체 분석한 '2023년 주요 상품·서비스 세계 시장 점유율'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기업은 D램 반도체, 낸드플래시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초박형 TV 등 4개 품목에서 세계 1위에 올랐다. 4개 품목 모두 삼성전자가 2022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1위를 유지했다.
2022년과 비교하면 1위 품목 국가별 순위는 한 단계 하락했다. 한국은 2022년 6개 품목에서 1위를 차지하며 일본과 공동 3위를 차지했지만, 지난해에는 1위 품목이 4개로 줄면서 국가별 순위도 4위로 한 계단 내려갔다.
지난해 1위 자리를 내준 분야는 스마트폰과 조선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분야에서 애플에 밀려 2위로 내려갔다. 지난해 삼성전자와 애플 간 세계 시장 점유율 격차는 0.5%포인트였다. 삼성전자는 전년보다 2.5%포인트 하락한 반면 애플은 1.2%포인트 상승한 결과다. 조선은 HD현대중공업이 중국선박집단유한공사(CSSC)에 밀려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위 품목 수를 가장 많이 차지한 나라는 미국이었다. 미국은 스마트폰, 태블릿, 화상진단기기, 클라우드서비스, 전기자동차(EV) 등 26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는 미국 기업의 독무대였다. '문장 생성형 AI' 분야에서 오픈AI, 구글, 쿼라 등 미국 기업 5곳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96.7%나 됐다. '기반 기술·서비스' 분야 상위 4개사는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AWS·구글 등 모두 미국 기업으로, 점유율은 84%였다.
중국은 1위 품목 17개로 국가별 순위 2위에, 일본은 10개로 3위에 올랐다. 일본은 2022년에는 한국과 함께 공동 3위였는데 1위 품목이 4개 늘면서 3위를 유지했다. 중국은 차량용 리튬이온 배터리와 이동통신 인프라, 냉장고·세탁기 품목에서, 일본은 자동차와 상보성금속산화반도체(CMOS) 이미지 센서, 포토레지스트 등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도쿄= 류호 특파원 ho@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수조원 D램 기술 中에 넘긴 삼전 전 상무, 中정부 돈으로 공장까지 지어 | 한국일보
- "시신 수백 구 절차도 없이 해부 실습용으로"… 37년 만에 드러난 '제2의 형제복지원' 사건 | 한국
- 결국 손흥민이 끝냈다!...홍명보호, '오만 쇼크' 이겨내고 3-1 승리 | 한국일보
- 안세영 폭로로 드러난 협회 '민낯'…멋대로 3억 쓰고, 보너스는 찔끔 | 한국일보
- 누가 아이폰16 더 빨리 배달하느냐...20일 아침 통신 3사가 레이스 펼친다 | 한국일보
- 차량에 경찰관 매달고 도망친 운전자도 '음주 술타기' 시도 | 한국일보
- 프랑스 몽블랑서 조난 한국인 2명, 사흘 만에 시신 발견 | 한국일보
- 운전연수 중 허벅지 밀친 강사.. 강제추행죄 무죄 받은 이유는 | 한국일보
- 박소영, 문경찬과 공개 열애 한 달 만에 결혼 발표 | 한국일보
- 분노의 나문희 "호박고구마!" 실화였다...'김삼순' '무한도전' '하이킥' 또 보는 이유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