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월급으론 못 살아” MZ 공무원들, 한때 ‘꿈의 직장’ 떠난다 [미드나잇 이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 업무요? 민원은 사람 수만큼이나 천차만별이에요. 달래고 어르고 그러다가 머리를 맞은 적도 있는데 저는 지금도 왜 맞았는지 모르겠어요."
1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이 각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임용 3년 미만' 퇴직 공무원 수는 지난해 8773명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금 안정성?…“윗세대나 혜택, 젊은층은 아냐”
2023년 임용 3년 미만 퇴직 공무원 8773명
“올해 9급 공무원 월급이 얼마인지 아세요? 1호봉 기본급이 약 188만원이고 일부 수당을 더하면 250만원 정도네요. 하아”
“제 업무요? 민원은 사람 수만큼이나 천차만별이에요. 달래고 어르고… 그러다가 머리를 맞은 적도 있는데 저는 지금도 왜 맞았는지 모르겠어요.”
“사명감이요? 사명감이 있으려면 그에 걸맞은 대우가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안정성이 있지 않냐고요? 그나마 믿었던 게 공무원 연금인데, 이건 밑에 돌 빼서 위를 채워주는 구조예요. 윗세대는 괜찮겠죠. 그런데 우리는 아니에요.”
이런 인식이 커지며 전국적으로 2030 세대 청년 공무원들의 퇴사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1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이 각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임용 3년 미만’ 퇴직 공무원 수는 지난해 8773명으로 나타났다.
2021년 7462명, 2022년 8492명, 2023년 8773명 등 갈수록 증가 추세다. 특히 2019년 4099명에서 지난해 8773명으로 5년 만에 2배 이상 급증했다.
전국 17대 광역자치단체와 권역 내 기초지자체의 20·30대 지방공무원 의원 면직건수는 더 심각한 상황이다.
20대의 경우 2020년 1094명, 2021년 1509명, 2022년 1541명, 2023년 1635명으로 계속 늘고 있다. 30대도 같은 기간 1889명→2345명→2649명→2519명으로 나타나며 2000명대를 유지했다.
박 의원은 청년 공무원이 조기 퇴직을 결심하는 주요 원인으로 ‘하위직 공무원들에게 불리한 보수체계’, ‘경직된 조직문화’, ‘악성 민원’ 등으로 파악했다.
박 의원은 정부가 내년 공무원 보수를 3% 인상하고 ‘긴급 직무 휴지’ 제도를 도입하는 등 복지대책을 발표한 것에 대해 “일선 청년 공무원들의 조기 퇴직 문제가 계속해서 지적됐으나 개선 기미는 없는 상황”이라며 “언 발에 오줌누기 식 대책으로 청년 공무원 이탈 흐름을 본질적으로 막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는 공직사회의 미래가 걸려있는 일이라는 위기의식 아래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내 이효리한테 꿀리지 않는다’ 금수저 이상순의 어마어마한 재력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자수성가한 줄 알았는데…백지영, 엄청난 재력가 집안 딸이었다
- 상간녀 3명과 불륜설 겪은 탁재훈 “바람 때문이었으면 이혼 안 했다”…진실은?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도박·외도’ 김학래 만행에도 “이혼 안 해” 선언한 임미숙, 대체 왜?
- 이혼 7년차 돌싱 안재현, 전처 향한 의미심장 발언…구혜선은 새 출발 알려
- “내 사전에 이혼은 없을 줄 알았다” 조윤희가 직접 밝힌 이동건과의 이혼 사유
- 정동원은 임영웅을 ‘형’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특별한 애칭 공개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