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포비아 극복’으로 성공적인 전기차 시대 열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인천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건으로 전기차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됐다.
이에 정부는 지난 6일 국정 현안 관계 장관회의에서 배터리 인증제 조기 시행, 정보공개 의무화, BMS(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충전기 개선, 소방 장비 확충 등 다양한 조치를 포함한 '전기차 화재 예방 종합대책'을 발표해 안전에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전기차 화재 문제는 정부의 안전대책과 BMS 등 차량의 예방 기술, 소방 기술 및 시설보완을 통해 극복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인천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건으로 전기차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됐다. 이에 정부는 지난 6일 국정 현안 관계 장관회의에서 배터리 인증제 조기 시행, 정보공개 의무화, BMS(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충전기 개선, 소방 장비 확충 등 다양한 조치를 포함한 ‘전기차 화재 예방 종합대책’을 발표해 안전에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한편 전기차 화재와 관련 과학적 근거 없이 불안감을 조장하는 사건도 이어지고 있다. 반복·집중적인 미디어 노출로 인해 전기차 화재가 내연기관보다 빈번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2023년 통계에 따르면 실제 전기차 화재 발생 비율(하이브리드 포함)은 0.003%(10만대당 3대)로 내연기관차의 0.016%(10만대당 16대)보다 낮다.
또한 충전율이 높을수록 화재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는 의견도 있지만 충전율과 화재 발생 사이에는 큰 연관성이 없다. 화재 발생 가능성은 배터리 내부의 물리적 단락이 가장 큰 요인이다. 화재가 발생한 이후에는 충전율이 높을수록 화재의 지속 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지만, 적은 충전량에서도 단락 상태에 따라 화재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이번 전기차 화재 사건으로 인해 전기차가 더 큰 화재 피해를 입힌다는 오해를 줄 수 있다. 하지만 내연기관차의 화재에서도 큰 손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2014년 용인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내연기관차 화재로 120여대의 차량이 전소됐다. 반면 전기차 화재임에도 스프링클러가 작동해 큰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사례도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전기차가 화재 피해의 더 큰 요인이 아니라 소방시설 점검과 진압장비가 화재 피해 방지에 더욱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전기차 산업의 초기 시장 보급 단계에서 많은 이슈가 발생할 수 있지만, 산업이 성장하고 기술이 고도화되면 이런 이슈들은 해결될 것이다.
업계는 전기차 화재 예방을 위해 현재 4단계 안전 시스템(차량에서 배터리 충전량을 관리, BMS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전류 차단, 물리적 안전 회로, 셀 자체 방어 설계)을 구축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일부 제작사는 이미 운전자가 없는 주정차 시의 차량에서도 BMS 상시 모니터링이 작동하고 이상이 감지되면 알려주는 기술을 적용했다. 이런 조치로 과충전으로 인한 화재는 지금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제작사는 정부와 협력해 배터리 안전성 검증을 위한 열적·전기적·화학적·물리적 시험 등 10가지 국제시험기준과 침수·낙하시험 등 총 12가지의 시험 항목을 평가하는 등 전기차 안전 확보를 위한 갖은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전기차 화재 진압 기술과 장비도 고도화하고 있다. 차량 바닥을 뚫고 소화수를 직접 주입하는 드릴 랜스, 주차장 천장에 설치된 열·연기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내화성 캡과 수조 형태의 화재 진압 장치가 하강하고 스프링클러가 작동해 배터리를 냉각하는 오토캡 기술, 이외에도 화재 조기 감지 및 소화 시스템 관련 발전된 소방 기술과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전기차는 전 세계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 산업이다. 전기차로의 전환에 성공하지 못하면, 국내 자동차 산업은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다. 특히 최근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침체기) 현상으로 전기차 산업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이번 사건으로 '전기차 포비아'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화재에 대한 과도한 불안감은 전기차 시장을 위축시키고, 산업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전기차 화재 문제는 정부의 안전대책과 BMS 등 차량의 예방 기술, 소방 기술 및 시설보완을 통해 극복해야 한다. 전기차 수요 침체 위기를 넘어서기 위해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 국내 전기차 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만 한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장
bigroot@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男 성기 모양 립스틱에 무릎 꿇고 있는 女모델?…中 광고에 '발칵'
- “30분에 186만원”…日유명 배우·운동선수 줄선다는 침술, 뭐길래?
- 마흔 넘으니 ‘근육’ 빠져 고민인데…매일 ‘이것’ 마시면, 도움 된다고?
- 조인성 "연애 자신감 없어져…유명세 빼면 경쟁력 있을까"
- 한대에 150만원인데…출산율 꼴찌 한국에선 “유모차 보다 ‘개모차’가 인기”
- 이봉원 "짬뽕집 2호점 준비…아내 박미선 몰라"
- 인테리어만 2억…김새롬, 시세 33억 청담 아파트 내부 공개
- 신형 아이폰에 놀란 삼성…“115만→57만원” 반값 ‘결단’
- 130만 유튜버 키조개 먹다 천연 흑진주 발견…"로또 맞은 기분"
- “공짜로 받아 5만원에 판다” 온동네 다 하는 당근 홍삼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