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동아대·ETRI, 발광 면적비와 신축률 모두 높은 스트레처블 OLED 구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많이 잡아당겨도 발광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는 신개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유승협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이 문한얼 동아대 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실감소자 연구본부와 협력해 세계 최고 수준의 높은 초기 발광 면적비 및 고신축성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구현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많이 잡아당겨도 발광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는 신개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됐다. 고해상도 신축형 디스플레이, 곡면 부착 및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유승협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이 문한얼 동아대 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실감소자 연구본부와 협력해 세계 최고 수준의 높은 초기 발광 면적비 및 고신축성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구현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기존 신축형 디스플레이는 발광 부분은 단단한 고립구조에 위치시켜 늘려도 변형이 없게 하고, 연결 부분(커넥터)은 말굽 모양 등 구부러진 형태로 구성해 변형이 가능하게 한다. 이는 2차원 구조에 한정되고, 연결부 변형에 필요한 공간 확보를 위해 발광 면적 비율을 희생해야 한다.
연구팀은 연결 커넥터가 힌지(경첩)형 회전, 인장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3차원 높이 교차 구조를 제안했다. 잡아당기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85% 발광 면적비와 40% 최대 시스템 신축률을 동시에 갖는 OLED 디스플레이 기술을 달성했다.
이는 기존의 경우 약 500% 인장이 가능한 연결 커넥터가 있어야 가능한 결과다. 반복 동작과 곡면 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성능을 유지했다.
연구개발(R&D) 초기는 순조롭지 않았다. 특히 초박막 OLED 신축 변화, 높이 변화시 극복해야 할 OLED 기판-신축성 플랫폼 사이 점착력이 생각보다 컸다. 초박막 OLED가 무질서하게 바닥에 붙었다.
연구진은 마치 골프공 표면처럼 반복적으로 파인 구조를 도입, 닿는 면적을 좁히는 방식으로 점착력을 현저히 줄여 문제를 해결했다.
유승협 교수는 “높은 발광 면적비, 우수한 신축률을 동시에 갖는 신축 유기발광 다이오드 기술 확보는 신축형 디스플레이 기술 난제를 해결하는 중요 열쇠”라며 “아이디어 입안부터 안정적 공정 수립까지 전 과정에 김수본 박사(개발 당시 박사과정)의 연구 수행, ETRI·동아대 협력이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김수본 박사가 제1 저자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9월 6일자에 게재됐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 사업(인체부착형 빛 치료 공학연구센터) 및 중견연구자사업, ETRI 연구운영비지원사업(ICT 소재·부품·장비 자립 및 도전 기술 개발)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개정 전금법 코앞...하이패스 충전금 866억 빈다
- 통신이용자정보 조회, 국감 핫이슈로…과기정통부, 영장주의에 '신중론'
- 삼성전자, AI B2B 사업 확장…AI 아파트·AI 오피스·AI 스토어·AI 스테이 '정조준'
- SDAIA “사우디, AI 선도국으로 탈바꿈”…글로벌 AI 서밋 2024 개막
- 씨에이티빔텍, AI 기반 3D CT 배터리 검사장비 출시
- 애플, 유럽서 19조원 과징금 폭탄...조세혜택 불복소송 패소
-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 막바지···10월 개통
- '아이폰16 OLED 초도부터 잡는다'…달라진 LGD
-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순항...본계약 1만6000대 돌파
- [GSS 2024]한준형 아카마이 상무, “AI發 사이버 위협 막기 위해 선제적 방어 태세 구축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