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김삼순', 젊은 세대도 푹 빠져들 웨이브의 레어템

정덕현 칼럼니스트 2024. 9. 9. 12: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 이름은 김삼순 2024’, 웨이브의 뉴클래식이 시작됐다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웨이브에는 최근 드라마, 예능, 영화, 애니 등의 분류 맨 앞에 '뉴클래식'이라는 새로운 꼭지가 생겼다. 클래식은 '고전'을 의미하는데 여기에 '뉴'가 붙었다는 건, 여러모로 의미심장하다. 마치 '레트로'에 '뉴'가 더해져 '뉴트로'라고 불리는 것처럼 읽힌다.

'뉴클래식'으로 내놓은 첫 작품은 '내 이름은 김삼순 2024'. 2005년에 방영됐던 '내 이름은 김삼순'에 2024년 버전이라는 의미다. 김선아와 현빈, 정려원, 다니엘 헤니를 단박에 스타덤에 올렸던 그 드라마. 최고시청률이 무려 50%를 기록했던 레전드 드라마다. 19년의 세월을 뚫고 이 드라마는 어떻게 다시 돌아왔을까.

이것은 최근 웨이브가 시작한 '뉴클래식' 프로젝트의 첫 발일 뿐이다. 이미 예전부터 웨이브가 가진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는 방대한 아카이브 콘텐츠라는 이야기가 업계에서는 공공연했다. 그도 그럴 것이 지상파 3사가 그간 오래도록 방영해왔던 옛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들이 웨이브에 독점적으로 가득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한때 '전원일기'가 다시 화제로 떠올랐을 때도 웨이브는 그 드라마를 다시 정주행 할 수 있는 유일한 OTT였다. 19년 전 레전드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이 2024년 버전으로 리마스터링해 돌아오게 된 건 그런 의미였다. 이 작품을 시작으로 웨이브는 보유하고 있는 아카이브 중 레전드 작품들을 대상으로 뉴클래식 프로젝트를 이어갈 작정이다. 다음 작품으로는 역시 레전드 드라마인 이경희 작가의 '미안하다 사랑한다'가 서비스될 예정이다.

물론 19년의 세월이 주는 간극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래서 뉴클래식 프로젝트는 16부작을 8부작으로 압축 재편집했고 화질을 4K로 업스케일링했다. 또 OST 역시 클래지콰이의 '쉬 이즈(She is)'를 가수 이무진과 쏠이 재해석해서 다시 불렀다. 현재의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 심혈을 기울인 흔적이 역력하다.

중요한 건 내용이 시대를 훌쩍 뛰어넘어도 여전히 공감 가능한가 하는 지점이다. '내 이름은 김삼순'은 촌스러운 이름과 뚱뚱한 체형 그리고 노처녀라는 콤플렉스를 가진 파티쉐 김삼순(김선아)이 고급 레스토랑 사장 현진헌(현빈)과 티격태격 로맨스를 그려나가는 드라마다. 시대의 흐름을 확실히 느낄 수 있는 건 나이 서른을 노처녀라고 불렀던 당대와 현재의 차이다. 지금의 서른이라면 결혼은 아직 먼 한창 연애할 청춘으로 여겨지니 말이다.

그래서 현재의 관점으로 '내 이름은 김삼순 2024'를 통해 당대를 들여다보면 오히려 그 시대의 김삼순이 얼마나 시대를 앞서간 멋진 인물이었는가가 새삼스럽게 느껴진다. 누구 앞에서도 당당하고, 자기 일에 있어서는 프로페셔널하며, 또 '예쁜 척' 같은 가식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인간적인 매력이 풀풀 피어난다.

또한 현재 이른바 K드라마라고도 불릴 정도로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각광받는 한국드라마(그 중에서도 로맨틱 코미디)의 원형적인 서사를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이 작품에 들어 있는 '계약 연애'를 담은 로맨스 서사나, 전문적인 일의 영역을 드라마 인물들의 직업으로 가져와 풀어나가는 방식, 또 남녀 간의 티키타카와 관계의 진전을 기막힌 코미디로 풀어내는 과정들은 '고전'이라는 말이 공감갈 정도로 웃음과 설렘을 준다.

반응은 어떨까. 이미 2005년에 MBC를 통해 이 드라마를 접했던 세대들에게는 향수와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뉴'라는 접두어를 붙였듯이 이 작품을 처음 접하는 젊은 세대들 역시 이 '빈티지'한 매력에 빠져들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최근 '사랑의 불시착' 같은 작품으로 글로벌한 인기를 끌고 있는 현빈의 젊은 시절이 등장하고, '키스 먼저 할까요?', '붉은 달 푸른 해', '가면의 여왕'에 출연했던 김선아와 '졸업'으로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정려원 또 '연예인 매니저로 살아남기' 등의 작품으로 국내와 해외를 종횡무진하는 다니엘 헤니의 젊은 시절이 등장한다. 일종의 '레어템' 같은 작품이랄까.

웨이브의 뉴클래식 프로젝트는 요즘처럼 K콘텐츠가 글로벌하게 저변을 넓혀가는 상황에는 그만큼 가치 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콘텐츠 팬덤이 점점 형성되고 있어 이들의 소비욕구 또한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내 이름은 김삼순'과 '미안하다 사랑한다'에 이어 앞으로도 더 많은 레전드 드라마들의 귀환을 기대한다. 그것은 어쩌면 웨이브라는 지상파를 베이스로 하고 있어 아카이브가 충분한 OTT가 던지는 회심의 일격이 될 수도 있을 테니.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