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중독사회, 우리가 잃는 것들 [조선칼럼 전상인]
전기밥솥보다 더 높아
템플스테이까지… 이젠 필수품
리콴유 “가장 위대한 발명품”
하지만 부작용도 고려해야
기후 영향 안 받는 순종적 신체
‘집콕’ ‘방콕’… 사회적 관계도 단절
한번쯤 되짚어볼 ‘편안함’ 아닌가
폭염과 열대야가 유별났던 이번 여름도 끝이 보인다. 더위를 이겨내게 한 일등 공신은 대개 에어컨, 그러나 며칠 있으면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 8월 전기료 고지서에 담길 ‘냉방비 폭탄’이 바로 그것이다. 그나마 다행(?)은 정치권이 ‘전기 요금 포퓰리즘’에 빠져 있다는 사실이다. 전력산업의 구조적 문제는 외면한 채 역대 모든 정부가 전기료를 싸게 묶어둔 결과다.
한국갤럽 조사에 의하면 국내 가구당 에어컨 보급률은 2023년 현재 98%로서, 전기밥솥보다 더 높다. 가구당 몇 대씩인 경우가 많아 실제로는 그보다 조금 밑일 것이다. 아무튼 ‘보유율’ 대신 ‘보급률’이라는 말이 통용될 정도로 에어컨은 더 이상 사치품이 아닌 생필품이다. 일반 가정은 물론, 공장, 오피스, 학교, 호텔, 식당, 상가, 문화시설, 자동차, 심지어 공중화장실과 엘리베이터에서도 에어컨 냉기가 돈다. 번화가에서는 ‘개문 냉방’이 예사다. 템플스테이나 고택스테이도 에어컨 없이는 인기가 없다.
물론 이는 세계적 추세다. 짧은 여름과 낮은 습도, 신기술에 비협조적인 고(古)건축물들, 도시 미관을 위한 실외기 규제, 높은 전기 요금 등을 이유로 오랫동안 에어컨을 외면해 왔던 유럽 국가들도 지구온난화 이후 사정이 달라졌다. ‘노 에어컨’ 올림픽을 표방했던 프랑스도 결국 휴대용 에어컨의 자비 반입을 허용했다. 중국이나 인도, 동남아, 중동에서도 에어컨 열풍이 거세다. 현재 전 세계에 10억 대가 설치되어 인구 7명당 1대라는 통계도 있다.
공기의 온도와 순환, 순도, 습도를 제어하는 현대식 에어컨은 본래 인간을 위해 탄생한 것이 아니다. 20세기 초, 미국 뉴욕의 어느 인쇄 공장이 고온다습한 기후 탓에 제품 관리에 애를 먹던 과정에서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인공 냉방에 대한 거부감이 컸다. 하지만 창시자인 윌리스 캐리어는 자신의 이름을 딴 에어컨 회사를 차렸고, 용처를 산업 현장을 넘어 생활 세계 전반으로 확대하였다. 머지않아 인류 문명은 에어컨 이전과 이후로 나뉠 정도가 되었다. 1998년 타임지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명 중 하나로 캐리어를 선정했다. 열대우림에서 선진국을 창조해 낸 리콴유 싱가포르 초대 총리는 에어컨을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품이라 극찬했다.
에어컨에는 미덕이 많다. 온열 질환 예방을 위시하여 산업 발전과 기술 혁신, 거주 가능 면적 확대, 의료·보건 증진 등에 이바지한 측면이 엄청나다. 하지만 부작용도 만만찮다. 각종 냉방병이 대표적이지만 친환경 건축 정신을 저하하고 도시 과밀 및 난개발을 촉진한다는 점에서도 해악이 크다. 무엇보다 더위 퇴치에 관련하여 에어컨은 자기모순적이다. 기후 위기 시대의 생존 필수품이라고 하지만 쓰면 쓸수록 그것을 가속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들은 기술 진보에 따라 언젠가 바로잡힐지 모른다. 문제는 오히려 사회문화적 차원에 있다. 에어컨은 인류 보편적 숙원을 해결한 것이 아니라 특정 시·공간의 사회적 필요에 따라 ‘역사적으로’ 등장했을 뿐이다. 에어컨에 의해 우리는 부지불식간 바깥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순종적 신체로 개조되어 왔다. 그러다가 마침내 우리 스스로 에어컨 중독을 향유하고 소비하기에 이르렀다. 이른바 ‘냉방 자본주의’는 쾌적한 노동 및 생활환경을 제공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효율성과 성과주의를 강박하는 사회 시스템이다(에릭 윌슨, ‘일인분의 안락함’). 에어컨이 궁극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공기가 아니라 사람인 것이다(스탠 콕스, ‘여름전쟁’).
에어컨 시대에 들어와 우리는 여름 특유의 계절감을 잊은 채 자연을 추상적으로 경험하게 되었다. 예전에는 너무 더울 때 낮잠을 자거나 일찍 퇴근하거나 며칠 일을 쉬었다. 땀 흘리는 것도 삶의 소중한 일부였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는 더위를 이겨내는 심리적 및 생물학적 내성을 잃어가고 있다. 더욱이 에어컨은 사회적 관계를 단절한다. 과거의 여름날은 바깥을 향해 있었다. 사람들은 그늘이나 마당, 옥상, 골목에 모여 더위를 함께 쫓았다. 하지만 에어컨 천국의 ‘집콕’·'방콕’ 문화는 사람들을 섬처럼 분리한다. 1995년 시카고에 기록적인 폭염이 덮쳤을 때 생사는 에어컨 소유 여부가 가르지 않았다. 관건은 사회적 고립과 지리적 단절이었다(에릭 클라이넨버그, ‘폭염사회’). 에어컨 없던 시절로 돌아가긴 어렵다. 하지만 적어도 이런 현실을 알고나 쓰자.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