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플랫폼 요지부동 ‘중개수수료 인하’ 제자리걸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숙박 플랫폼 사업자 야놀자와 여기어때가 입점 업체에 대한 중개수수료를 한시 인하하기로 결정했지만 배달앱 부분 상생협의체의 수수료 논의는 여전히 답보 상태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8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수수료와 계약 체결 등 이슈에서 상생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배달 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는 지난 7월 출범 이후 현재까지 총 3차례 회의를 진행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숙박 플랫폼 사업자 야놀자와 여기어때가 입점 업체에 대한 중개수수료를 한시 인하하기로 결정했지만 배달앱 부분 상생협의체의 수수료 논의는 여전히 답보 상태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배달 플랫폼에 입점한 소상공인은 수수료 등 명목으로 매출의 20%가량을 내야 한다. 플랫폼 사업자는 치열해진 시장 경쟁 등을 이유로 이런 수준의 수수료를 낮추는 데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한다.
8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수수료와 계약 체결 등 이슈에서 상생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배달 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는 지난 7월 출범 이후 현재까지 총 3차례 회의를 진행했다. 이 기간 협의체는 의제 설정 방식과 향후 논의 안건 등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배달의민족(배민) 쿠팡이츠 요기요 등 배달앱 3사의 중개수수료는 모두 10% 수준에서 형성돼있다. 시장의 과반을 점유한 배민은 앞서 6.8%인 배민1플러스(배민배달) 중개수수료를 9.8%로 인상했다. 쿠팡이츠와 요기요도 각각 9.8%, 9.7%로 비슷하다.
이 밖에도 이들 업체는 ‘배민페이’ ‘쿠팡페이’ 등 자사 시스템으로 결제되는 금액에 대해 3%가량의 결제 수수료를 받는다. 여기에 부가가치세와 배달비, 각종 추가 광고비 등을 더하면 통상 소상공인 매출액의 20%가량이 플랫폼 관련 지출로 나간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입점업체가 100만 원을 벌면 20만 원이 플랫폼에 넘어가는 셈이다.
이로 인해 배달앱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그동안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배민 영업이익은 6998억 원으로 전년보다 65% 급증했다. 쿠팡도 지난해 6174억 원 상당의 영업이익을 냈다. 쿠팡이츠·쿠팡페이·쿠팡플레이 등 ‘성장사업’ 부문 매출은 1조29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 늘었다.
요기요 운영사인 위대한상상 역시 지난해 매출이 2857억 원으로 전년보다 8.2% 늘었다. 영업손실은 655억 원으로 1년 전보다 41.3% 줄었다.
‘배달 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는 지난 3차례 회의에서 중개수수료 및 결제 수수료 문제를 논의 안건으로 채택하는 데에는 일단 성공했다. 협의체는 오는 4차 회의에서 수수료 부담 완화 방안과 상생 인센티브 마련에 대해 배달 플랫폼과 입점 업체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지난 5일 숙박 플랫폼 분야 자율기구에서 중개수수료를 1% 완화하는 상생안을 마련한 만큼 배달 플랫폼 역시 비슷한 수준의 상생안이 나올 수 있다는 기대도 시장에 확산하고 있다.
다만 배민 등 플랫폼사들은 중개수수료 인하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 내 경쟁이 여전히 치열한 상황에서 핵심 수익 모델인 수수료를 인하하기는 어렵다는 게 업체들의 주장이다.
정부도 향후 개최될 협의체 회의에서 수수료 인하를 지속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인센티브도 제시할 방침이다. 다만 협의체는 강제성이 없는 자율기구인 만큼 업체들이 끝까지 반대하면 수수료 인하를 강제할 방법은 없다.
이에 대해 배민 측은 수수료를 포함해 모든 사항을 열어놓고 상생협의체에 성실히 임한다는 입장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