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성범죄, 왜 유독 한국에 판치냐고?

정인선 기자 2024. 9. 6. 19: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3일 '딥페이크 디지털성범죄 예방과 대응책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국회에서 열렸다.

텔레그램에 지역별·학교별 '겹지방'(겹치는 지인 방)이 만들어져 딥페이크 성범죄가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지난달 22일 한겨레 보도로 알려진 지 열흘여 만이었다.

성평등 교육을 연구하는 교사 모임 '아웃박스'가 2020년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만든 초등학생용 디지털성범죄 예방 수업 안내서엔 이렇게 적혀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주의 질문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학부모회 등 학부모 단체가 기자회견을 열고 ‘딥페이크 성범죄 근절 및 근본적 종합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정용일 선임기자 yongil@hani.co.kr

지난 3일 ‘딥페이크 디지털성범죄 예방과 대응책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국회에서 열렸다. 텔레그램에 지역별·학교별 ‘겹지방’(겹치는 지인 방)이 만들어져 딥페이크 성범죄가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지난달 22일 한겨레 보도로 알려진 지 열흘여 만이었다.

토론회가 끝나기 직전 한 외신 기자가 질문을 던졌다. “딥페이크 기술도, 10대 청소년도 한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똑같이 있는데, 딥페이크 성범죄가 왜 유독 한국에서 이렇게 빨리, 많이 문제가 됐다고 보십니까?”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초등학교, 학원 등에서 수준 높은 코딩 교육이 이뤄지지만, 기술 그 자체만을 가르칠 뿐 ‘코딩으로 할 수 있는 최악의 결과물이 무엇인지’를 예방적 차원에서 교육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답했다. 이인선 국회 여성가족위원장(국민의힘 의원)은 “(딥페이크 성범죄는) 여혐(여성 혐오)이니 남혐이니 그런 문제와는 전혀 다른, 개인에 관련된 일”이라며, “어느 한 부분의 문제로 너무 막 몰리지 않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 위원장은 “우리 학생들은 그게 정말 잘못된 건지 모르는 상황에서, 그냥 친구들 사이의 하나의 놀이처럼 (들어)갔다가 그걸 이용해서 금전적인 이익을 취하는 집단이 생기면서 묘해지는 것 같다”고도 했다.

외신 기자의 궁금증은 해소됐을까? 아니면 더욱 미궁 속으로 빠져들었을까? 글로벌 보안업체 ‘시큐리티히어로’가 지난해 딥페이크 성착취물 누리집 10곳과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 채널 85곳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일반 딥페이크물의 경우 등장 인물의 77%가 여성인 반면, 딥페이크 성착취물에선 99%가 여성이었다. 그런데도 딥페이크 성범죄가 성별과 무관하게 벌어지는 ‘개인의 일탈’이고, ‘아이들의 악의 없는 장난’이라는 여성가족위원장의 발언은 집권당에 문제를 뿌리 뽑을 의지가 있는 게 맞는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도 대선 후보 시절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 차별은 개인의 문제”라고 말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딥페이크 성범죄가 첨단 기술의 ‘신종 범죄’라는 점만 강조하면 피해자의 불안감만 커질 뿐,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기 어려워진다고 지적한다. 김민문정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는 “우리 사회가 여성의 몸과 남성의 몸을 어떻게 다르게 인식하는지, 그 차이가 결국 피해자의 성별로 나타난다”며 “구조적 성차별을 건드리지 않은 채 잘못을 저지른 개인만을 가려내 공동체에서 쫓아내는 손쉬운 방식만 반복해서는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여진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대표는 “여성을 도구로 보는 배경이 강한 사회에서는 아무리 훌륭한 기술도 여성을 해치는 방식으로 쓰인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했다.

성평등 교육을 연구하는 교사 모임 ‘아웃박스’가 2020년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만든 초등학생용 디지털성범죄 예방 수업 안내서엔 이렇게 적혀 있다. “학생들은 단순히 같은 성별이라는 이유로 ‘가해자’와 자신을 동일시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남학생 여학생 할 것 없이 ‘피해자’ 입장에 서서 범죄를 바라보고 문제를 이야기하죠. (중략) 이는 특정 성별을 잠재적 가해자로 만드는 수업이 아닌 성차별 구조를 이해하고 차별에 저항하는 시민으로 자라나는 수업입니다.”

정인선 젠더팀 기자 re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