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눈먼 도끼질에 날벼락 된 청약 로또[김영주 기자의 부동산 깊이보기]

김영주 기자 2024. 9. 6. 11: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 집에 살고 싶은데 청약 가점이 낮았어요. 미술품·차량 공유 서비스까지 있는 고급 주거 시설이라고 해서 6억 원대에 분양받았습니다. 어느 날 정부에서 거주를 금지해버렸고 직접 살 수도, 남에게 세를 줄 수도 없어요. 자산 가치가 낮으니 팔 수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도 없습니다. 내가 죽어야 해결이 될까요."

2021년 정부는 건축법 시행령을 개정해 생숙의 숙박업 등록을 의무화하고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공시 가격의 10%에 달하는 이행 강제금을 내도록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새 집에 살고 싶은데 청약 가점이 낮았어요. 미술품·차량 공유 서비스까지 있는 고급 주거 시설이라고 해서 6억 원대에 분양받았습니다. 어느 날 정부에서 거주를 금지해버렸고 직접 살 수도, 남에게 세를 줄 수도 없어요. 자산 가치가 낮으니 팔 수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도 없습니다. 내가 죽어야 해결이 될까요.”

2020년 인천 연수구 송도의 생활형숙박시설(생숙)을 분양받은 박모(48) 씨의 뇌리엔 요즘 파산이라는 단어가 가득하다. 당시 1379 대 1의 청약 경쟁률을 뚫고서 주변의 부러움을 한몸에 받았다. 하지만 4년 뒤인 2024년, 준공 허가가 나고 입실 기간도 끝났지만 해당 건물에 있는 대부분 호실은 불이 꺼져 있다. 대부분의 수분양자들은 잔금은커녕 중도금 상환도 못 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미납금엔 연 7.83%의 고리가 붙고 있다. 지난 1일부터는 시행사가 채권 추심을 압박하고 있다. 거주가 불가한 데다가 주거지 일색인 지역에 지어진 50층짜리 건물이라 숙박 수요 자체가 거의 없는 지경이다. 주차장과 복도 넓이 등 요건을 충족하면 오피스텔로 용도 전환이 가능하다곤 하나, 그건 수천 대 1의 청약 경쟁률보다 가능성이 더 희박하다. 이미 준공된 건물을 부수고 다시 지을 수 없는 일이다. 박 씨는 새 집에 살고 싶었을 뿐인데 왜 내게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일까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불길한 예감이 스친 적도 있다. 2020년 10월 김현미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이 국정감사에서 생숙이 투기 수단이 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건축·건축물분양법을 개정해 주거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폭탄 발언을 한 것이다. 하지만 이미 분양을 받고 계약금을 낸 뒤였다. 소급 적용을 하리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불길한 예감은 현실이 됐다. 2021년 정부는 건축법 시행령을 개정해 생숙의 숙박업 등록을 의무화하고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공시 가격의 10%에 달하는 이행 강제금을 내도록 했다.

생숙 사태는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 폭등의 광풍 속에서 상승 요인 같아 보이기만 해도 쳐냈던 눈먼 도끼질이 빚어낸 결과다. 문 정부가 던진 돌에 맞은 개구리의 고통에 윤석열 정부 역시 무심한 듯하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여러 가지 실효적인 해법을 찾고 있다”면서 “하나하나 풀어가야 할 문제들이 있어 특정 날짜를 정해 대책을 발표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너무 늦지 않게 제대로 된 해법을 내놓길 바란다.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