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채 장·단기금리 역전 후 해소되면…총 10번 '침체' 왔다
정상화 시점에 경기침체·연준 금리인하 시작
구인건수 줄고 해고 늘어…구인배율 1.07배로 뚝
페드워치 “9월 빅컷 가능성 45%”…8월 고용보고서 관건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다가 정상화하면 경기 침체가 온다.”
2년간 이어졌던 미국채 장·단기물 금리 역전 현상이 추세적으로 해소(정상화)되는 흐름을 보이자, 시장에선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국이 겪은 총 11번의 경기침체 가운데 10번이 장단기물 금리차 역전현상 후 정상화한 시점에 발생했기 때문이다. 과연 이번에도 그럴까.
4일(현지시간) 뉴욕채권시장에서 오전 한때, 미국채 2년물 금리가 10년물 금리를 밑돌면서 2022년 6월 이후 지속했던 장·단기물 금리 역전 현상이 해소되기도 했다. 종가 기준으로는 10년물 금리가 3.766%를, 2년물 금리는 3.768%로 역전현상이 다시 나타났지만, 그 폭은 상당히 좁혀졌다. 추세적으로는 갭이 줄면서 해소되는 분위기다.
보통 10년물은 장기국채, 2년물은 단기국채라고 한다. 장기국채 금리는 국채 장기보유에 대한 프리미엄이 부여되기 때문에 단기국채보다 금리가 높은 게 정상이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이 고조되자 연준이 금리를 가파르게 올리면서 ‘장·단기물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났고 2여년간 지속됐다. 금리를 올리면 기업과 가계 부담이 커져 장기적으론 경기에 부담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2년·10년물 금리 역전 폭은 2023년 3월 100bp(1bp=0.01%포인트)대로 벌어지며 1981년 9월 이후 가장 큰 격차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날 경기침체 징후가 고개를 들면서 당장 연준이 ‘빅컷’(0.5%포인트 인하)을 할 가능성이 고조되자 2년물금리가 10년물보다 더 가파르게 떨어졌다.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장 마감 시점 9월 빅컷 가능성은 45%로 전일(38%)보다 상향됐다. 11월 현재보다 금리가 75bp 이상 내려갈 확률은 69.8%에 달한다. 12월 100bp 이상 떨어질 확률은 86.3%다. 올해 최소 100bp가 떨어질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는 것이다. 시장은 연준이 계단식이 아닌 엘리베이터식 금리 인하를 단행해야 경기침체를 피할 수 있다고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국채금리가 떨어진 이유는
미국 경기가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가 강해지고 있어서다. 이날 미 노동부가 공개한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7월 구인 건수는 767만3000건으로 전월 대비 23만7000건 줄었다. 2021년 1월 이후 최저치로 월가 예상치(810만건)도 크게 밑돌았다. 특히 해고는 전월보다 23만8000건 늘어난 177만6000건, 해고 비율은 1.0%에서 1.1%로 소폭 올라갔다.
실업자 한명당 일자리수를 뜻하는 구인배율은 1.07배까지 하락했다. 이 지표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중시하는 지표인데, 2018년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내려간 것이다.
미국의 12개 지역 중 경제활동이 약해지는 지역도 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연준)는 날 발표한 8월 경기동향 보고서(베이지북)에서 미국 내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연은) 담당 지역 중 9개 지역에서 경제활동에 변동이 없거나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이는 지난 7월 중순 나온 직전 보고서 때의 5개 지역보다 4곳 늘어난 것이다. 나머지 3개 지역에서만 성장세가 소폭(slight)에 그친 것으로 판단했다.
고용시장이 둔화하고, 경제활동이 약해지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자,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국채로 수요가 몰리자 채권가치가 오르면서 발행금리가 떨어진 것이다.
과거 사례를 보면 장단기 금리 차가 역전된 이후 다시 정상화하면 얼마 뒤 경기침체가 시작됐고, 이 시점은 연준이 보험적 성격의 금리 인하를 시작할 때와 유사했다는 분석이 많다.
글로벌 투자은행(IB)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에 따르면 미국이 겪은 11번의 경기침체 가운데 10번이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정상화 된 시점에 발생했다. 지난 2000년 말 닷컴버블 직후와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 때도 장단기 금리차는 역전된 후 정상화됐다. 지난 2021년 팬데믹 사태 당시는 금리차 역전현상이 벌어진 후 경기 침체가 왔다.
이제 관심은 6일 발표될 8월 고용보고서 결과다. 월가는 8월 비농업일자리가 16만개 늘고, 실업률은 4.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7월 17만9000개 증가, 실업률 4.3%에 비하면 고용상황이 안정된 것이다. 하지만 시장 예상치를 벗어나 고용상황이 악화한다면 경기침체 가능성은 보다 커지고, 연준이 9월 ‘빅컷’을 단행할 확률도 더욱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김상윤 (yoo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심당 4층 건물 올린다" 소식에..직원들 부럽다 소리 나오는 이유
- 美국채 장·단기금리 역전 후 해소되면…총 10번 '침체' 왔다
- '경기도 법카 유용 의혹' 김혜경, 檢 조사 2시간만에 귀가(종합)
- "전단 뗀 중학생 송치, 이게 최선인가" 묻자 경찰서장 "아쉽다"
- 착륙 직전 아시아나항공 비상문 개방한 30대…"7억2700만원 배상"
- "술 취해서"…한국女 2명, 튀르키예서 2000만원 든 가방 훔쳐
- "에어팟 잃어버릴 걱정 없겠네"…애플 '나의 찾기' 한국서 된다
- 수십만 명이 찾는 '스노클링 명소' 폐쇄…'KIM' 낙서 한국인이 썼나
- "뒷좌석 승차감 끝판왕"…회장님도 반할 '이 車'
- 김선아 "19년 만에 돌아온 '김삼순', 또봐도 재밌어…오랜 친구같은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