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호황이라는데 난 왜 가난해진다 느낄까” 한은이 내린 결론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 회복세에도 체감경기는 안 좋은 이유를 분석한 한국은행 보고서가 나왔다.
한은은 "팬데믹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자산 불평등이 심화한 점 또한 체감경기 부진에 일조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경기 회복세에도 체감경기는 안 좋은 이유를 분석한 한국은행 보고서가 나왔다. 고기술 사회로 진입하면서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드는 등 산업구조 변화의 영향과 함께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조사국 조사총괄팀 이종웅 차장과 김윤재 조사역은 5일 블로그에 게시한 '경제 지표의 그늘, 체감되지 않는 숫자'라는 제목의 글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반도체, 정보기술(IT) 기기 등 자본 집약적 산업 중심으로 수출업종이 재편되면서 수출이 고용 및 가계소득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취업자 수를 가중치로 사용한 '고용 가중 성장률'은 작년 하반기 이후 경제성장률(GDP 성장률)을 지속해 하회했다"며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분야의 해외직접투자 증가도 국내 설비투자 필요성을 약화하는 요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경기적 요인으로는 "최근의 고물가·고금리 기조가 가계의 실질소득 증가를 제약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추세적으로 둔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수 소비재를 포함한 생활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이는 대다수 경제주체가 느끼는 체감 물가가 지표 물가보다 더 높은 수준임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또 "금리 인상이 자영업자와 30~40대 가구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친 점도 지표경기와 체감경기 간 괴리의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2020년 이후 30~40대를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했는데, 높은 가계부채에 고금리가 더해지면서 해당 연령층을 중심으로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많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한은은 "30~40대 가구가 느끼는 체감 경기는 다른 연령대보다 더 위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자산 불평등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도 배경으로 지목했다. 한은은 "팬데믹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자산 불평등이 심화한 점 또한 체감경기 부진에 일조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경우 소득 불평등 정도는 주요 선진국에 비해 높지 않으나, 불평등에 대한 사회적 민감도는 여타 국가에 비해 높은 편"이라고 덧붙였다.
th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자우림 김윤아 ‘뇌 신경마비 투병’…병원서 근황 공개
- 손가락 베인 2세 서울 아이, 대학병원 돌다 영종도서 수술 받았다
- ‘열애설’ 펜싱 오상욱, 상대 모델은 한일 혼혈 하루카 토도야
- “노소영, 안세영에게 50억 기부” 가짜뉴스 파문…사실은
- "일본도 살해는 공익 활동" 옹호 댓글의 정체…가해자 부친이었다
- 文 전 대통령 딸 다혜씨 “이쯤 가면 막 하자는 거지요?”
- 세븐틴 민규 노출사진 유출한 록시땅 직원, 결국 고발당했다
- BTS 제이홉 4주택자 됐다…100억에 용산 아파트 매입
- "낮 꽃집, 밤 대리" 애 셋 혼자 키우던 가장, 음주운전車에 의식불명
- 남현희, ‘지도자 자격정지 7년’ 확정되자…“범죄도 아닌데 중징계, 소송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