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연구사업 25% 늘었다"는데…연구계 "적은 수"라는 이유

박건희 기자 2024. 9. 5. 07: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의 주요 개인기초연구사업 중 하나인 중견연구사업의 하반기 과제 선정 결과가 지난달 말 발표됐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선정된 중견연구사업 과제 수 1200여개에 비해 300여개(25%) 증가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28일 "기초연구에 역대 최고 규모인 2조 3400억원을 투자한다"며 "내년도부터 중견연구 창의연구형의 신규 과제 수를 800~900개로 대폭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조정실장이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과기정통부 예산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의 주요 개인기초연구사업 중 하나인 중견연구사업의 하반기 과제 선정 결과가 지난달 말 발표됐다. 전년에 비해 25% 증가했지만 이를 두고 해석은 엇갈린다.

5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중견연구사업의 하반기 과제로 △유형1에 137개, 신설된 △창의연구형에 155개로 총 292개 과제가 선정됐다. 상반기에는 △유형1에 1102개, 신설된 △글로벌형에 108개가 선정된 바 있다. 상·하반기 통틀어 1500여개 과제가 올해 중견과제사업으로 선정된 셈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선정된 중견연구사업 과제 수 1200여개에 비해 300여개(25%) 증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연구 현장에서는 과학기술 R&D(연구·개발) 예산 삭감에 따른 여파의 현실화로 바라보며 온도차를 나타냈다. "전례 없이 높은 경쟁률에 비하면 여전히 적은 수"라는 볼멘소리마저 나온다.

중견연구는 개인 연구자를 지원하는 과기정통부의 대표 격 사업이다. 단독 연구 혹은 2인으로 구성된 공동연구가 지원 대상이기 때문에 소규모 연구가 많은 기초과학 분야를 포함해 매해 가장 많은 지원자가 몰린다. 올해부터 임용 7년 이내의 신진연구자를 지원했던 '생애첫연구'와 이공학분야 개인기초연구를 지원했던 '기본연구' 사업이 예산 삭감으로 폐지되며 그나마 남은 중견연구 사업에 더 많은 지원자가 몰릴 것은 예견됐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 신설된 중견연구 창의연구형의 경쟁률은 12대 1을 기록했다. 창의연구형은 연구자별로 1~3년간 연간 평균 700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역시 올해 신설돼 최대 5년(3+2)간 연 최대 4억원을 지원하는 글로벌형, 연 최대 3억원을 지원하는 유형1에 비해 비교적 기간도 짧고 지원 액수도 적지만 1800여개의 신청서가 쏟아진 셈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28일 "기초연구에 역대 최고 규모인 2조 3400억원을 투자한다"며 "내년도부터 중견연구 창의연구형의 신규 과제 수를 800~900개로 대폭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연구계는 "올해 상황과 달라지는 게 있을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내년 R&D 예산을 확대한다는 정부의 발표에도 정작 연구계가 변화를 체감할 수 없는 이유는 대부분 예산이 정부가 역점 사업으로 꼽은 AI(인공지능), 바이오 등 전략기술에 쏠릴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중견연구사업에 '글로벌형'이 추가되는 등, 정부의 글로벌 R&D 확대 기조에 따라 외국 대학·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가 포함돼야 신청할 수 있는 사업이 대폭 늘어난 것에 대해서도 "한반도 지진을 예측하는 연구에 반드시 외국 대학이 참여하지 않아도 되듯, 국제 교류가 꼭 필요한 분야가 있고 그렇지 않은 분야가 있다"며 "연구 별 특성에 따른 다양성을 존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세금을 사용하는 만큼 국민의 편익과 안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데 R&D 사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했다.
.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