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우의 간신열전] [250] 정심(正心)과 중심(中心)

이한우 경제사회연구원 사회문화센터장 2024. 9. 4. 23: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

정심(正心)은 대학의 팔조목, 격물치지 성의정심(格物致知誠意正心) 수신제가 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임금의 바른 마음 하나에서 수신이 나오고 제가가 나오고 치국과 평천하가 나오기 때문이다. 정심이란 말 그대로 임금이 자기 마음에 그릇됨[邪]이 끼어들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그릇됨이란 사사로운 욕심이나 교만, 사치 등이다.

그런데 최고 지도자는 정심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중심(中心)까지 나아가야 한다. 이때 중심은 가운데나 센터를 뜻하는 것이 아니다. 중(中)은 가운데 중 자가 아니라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다고 할 때의 중 자이다. 중용(中庸)의 중이 바로 가운데 중이 아니라 적중할 중이다.

이 중(中)의 정치로 제나라 환공을 도와 부국강병을 실천한 인물이 관중(管仲)이다. 사마천의 ‘사기’ 세가(世家)에는 그 비결이 실려 있다. 관중이 말했다.

“영(令)을 내리기를 흐르는 물의 원천처럼 하면 (그 영은) 백성들의 마음에 고분고분 들어맞게 된다.”

실제로 사마천은 관중의 정치를 이렇게 서술하고 있다.

“백성들이 원하는 바가 있으면 그것을 기반으로 해서 그렇게 해주었고 백성들이 싫어하는 바가 있으면 그것을 기반으로 해서 그것을 없애주었다.”

백성들의 마음이 척도였다는 말이다. 이것이 바로 중심다. 정심의 심은 자기 마음이지만 중심의 심은 백성의 마음이다. 정심과 중심의 갭을 줄이는 것이 지도자의 마음가짐이다.

다시 사마천의 말이다.

“그가 정사를 한 것을 보면 재앙도 잘 처리하여 복이 되게 하였고 실패도 바꿔 성공으로 이끌었다.”

일정함[正]보다는 상황에 맞췄기[中] 때문이다. 그래서 관중은 말했다.

“내어줄 줄을 알아서 취하는 것, 이것이 정치하는 보배[政之寶]이다.”

국회 개원식에 불참한 대통령 모습에서 부중(不中)을 보게 된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