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몰랐던 마크 로스코에 대하여[김민의 영감 한 스푼]
로스코가 세상을 떠날 때 19세, 6세의 어린 나이였지만 그 후로 지금까지 작품을 보존, 연구하며 알리는 그의 자녀 케이트와 크리스토퍼 로스코를 3일 서울 용산구 페이스갤러리에서 만났습니다. 케이트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작품을 지키기 위해 소송까지 치러야 했고, 크리스토퍼는 로스코의 글을 모은 책을 편집하거나 전시 큐레이팅을 담당하는 로스코 전문 연구자입니다. 두 사람에게 로스코에 대해 물었습니다.
모차르트를 사랑한 화가
먼저 아버지로서 로스코의 모습이 궁금했습니다. 케이트는 “가족뿐만 아니라 친구나 젊은 작가를 대할 때도 따뜻했던 사람”이라며 “작품에 관해 깊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로스코가 예순일 때 태어난 크리스토퍼는 “늦둥이의 특권을 누나보다는 더 누렸다”며 “체스와 음악을 아버지에게 배웠다”고 합니다.
“아버지와 함께 늘 음악을 들었고 누가 훌륭한 작곡가인지 토론했어요. (어떤 음악을 좋아하셨나요?) 모차르트, 모차르트, 모차르트, 모차르트, 슈베르트요(웃음). 아버지는 정말 모차르트를 사랑했습니다.”
“로스코는 캔버스 위에 직사각형을 그냥 던지는 게 아니라 아주 세밀하고 정확하게 관계를 설정해요. 그런 세밀함이 모차르트의 음악과 닮았죠.”(케이트)
그가 작업할 때는 모든 것을 차단하고 음악을 튼 채 완전히 그림에 몰입했다고 합니다. 케이트는 “작업실 전화벨이 오랫동안 울려도 무시하고 집중한 적도 있고, 작품이 어느 단계에 이르기 전까지는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고 오롯이 혼자인 상태에서 그림을 그렸다”고 했습니다.
유럽을 바라보던 뉴요커
“당시 뉴욕은 대공황으로 많은 사람이 가난을 겪는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로스코는 이때 아주 붐비는 지하철이나 도시를 그렸는데, 그런 곳에선 인간성을 잃는 듯한 기분이 들잖아요. 그런 불안감이 그림에서 느껴지는 건 맞아요.”(크리스토퍼)
“저는 아버지가 ‘완전한 미국인’이 되지는 못했다고 생각해요. 어떤 점에서 아버지는 항상 고향인 유럽을 바라보는 것 같았고요. 물론 뉴욕은 이민자의 도시였으니 아버지를 ‘뉴요커’라고는 할 수 있겠지만 100% 미국인이라고는 할 수 없어요.”
다만 케이트는 로스코의 작품이 말년으로 갈수록 어둡고 우울해졌다는 세간의 말은 맞지 않다고 했습니다. “로스코는 평생 인간의 조건과 감정 같은 본질적 문제를 파고들었던 작가입니다. 초기인 1940년대에 단순한 시각 언어로 관객에게 감정을 직접 전달하는 것을 고민해 글로 남기기도 했죠. 이때부터 그는 추상을 생각했습니다.”
몰입 속 대면하는 삶의 질문들
로스코의 가족은 전시와 책, 강연을 통해 선입견을 걷어내고 그가 남긴 예술 세계의 풍부함을 알리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선입견 중 하나는 로스코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고 따라서 작품이 슬프다는 인식입니다. 이에 대한 생각을 묻자 크리스토퍼는 “아버지는 보는 사람들이 깊은 감정을 느끼길 바란 것 같다”고 했습니다.
“우리는 왜 여기에 있고 죽음 뒤에는 무엇이 있나. 이런 삶의 진지한 질문을 그림으로 던지려 한 듯해요. 작품이 슬픈 게 아니라 그것을 봄으로써 깊은 감정을 느끼게 만드는 것이죠. 우리는 평소 슬픔과 불안을 억누르려 하잖아요. ‘오늘 뭐 먹지? 내일 뭐 하지?’ 같은 생각으로 그것을 피하는데, 그렇게 깊이 눌렀던 감정들을 그림 앞에서 느꼈으면 한 것이죠.”
케이트는 갤러리에 전시된 회색과 검은색이 있는 작품 ‘무제’(1969년)를 보고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는 출발점이라고 느꼈다”며 “후기 작품들은 마지막으로 그린 것이 아니라 다른 시작이었다”고 했습니다.
크리스토퍼는 “로스코가 어떤 패턴을 생각해 내고 같은 그림을 몇백 개 그렸다는 생각이 있는데 몇 분만 그림을 직접 봐도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아버지가 남긴 그림을 보며 저는 스스로에게 묻곤 합니다. ‘이 그림에선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 했을까? 어떤 질문을 했을까? 여기선 어떻게 풀려고 했을까?’ 제가 글을 쓸 때 앉는 의자 맞은편엔 늘 아버지 그림이 있는데요. 아버지가 해결해야 했을 문제들을 바라보며, 글쓰기가 막힐 때면 고개를 들어 그림을 보고 도움을 받습니다.”
로스코가 인생의 문제를 대면하고 풀어내려 노력한 흔적들. 페이스갤러리에서 이우환의 작품과 함께 10월 26일까지 만날 수 있습니다.
※뉴스레터 ‘영감 한 스푼’은 매주 목요일 오전 7시에 발송됩니다. QR코드를 통해 구독 신청을 하시면 e메일로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김민 문화부 기자 kimmi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금 내는 돈 ‘50대 4년간 빠르게, 20대는 16년간 천천히’ 올린다
- [김순덕 칼럼]서울대 법대와 ‘밴댕이 정치’
- [사설]21대 국회안 내차더니… ‘갈등 불씨투성이’ 정부 연금개혁안
- [사설]권역센터 40% ‘셧다운’ 위험… 군의관 투입 ‘땜질’론 감당 못한다
- 北, 25일만에 또 오물 풍선 살포… 올해 들어 12번째
- 전통주·K-뷰티 세트 담긴 尹 추석 선물…野 의원들 “반송한다” 거부 인증
- [사설]인권위원장 이런 논란의 인물이어야 하나
- 손흥민 “잡음 있었지만 선수들 잘 버텼다…팀 분위기 좋아”
- [단독]공공기관 임금체불 5년간 165억 원…7000명 임금 제때 못 받았다
- 깊은 상처 안고 돌아온 고국, 따뜻한 희망의 한끼[동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