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오늘]‘장삿속’ 퐁피두 ‘맞장구’ 부산시

기자 2024. 9. 4. 20: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공립미술관의 소장품 구입 예산은 형편없다. 해마다 들쑥날쑥하지만 국가에서 운영하는 국립현대미술관조차 50억원 안팎이다. 지자체 산하 공립미술관들은 언급하기 민망할 정도다. 많아야 10억원대이고 수억원에 불과한 곳도 적지 않다.

이런 예산으론 어지간한 작품 한 점도 사기 어렵다. 2022년 기준 작품 구입비로 5억원이 편성된 부산시립미술관이 2019년 크리스티 홍콩 경매에서 132억원에 팔린 김환기 작품 ‘05-Ⅳ-71#200 우주’를 소장하려면 무려 26년치 예산을 모아야 한다. 글로벌 미술관을 표방하지만 1만점이 조금 넘는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중 90%가 국내 작품인 것도 ‘궁핍’과 무관하지 않다.

기증 문화가 뒤처진 한국에선 소장품 구입 예산 대부분을 정부와 지자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지원은 매우 박하다. 소장품의 문화적·역사적 가치에 대한 인식 빈약이 원인이지만, 지방정부는 곧잘 재정 부족을 내세운다. 돈이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부산광역시 씀씀이를 보면 반드시 그런 것 같지도 않다. 이미 부산시립미술관과 부산현대미술관이 있는데도 프랑스의 국립근대미술관인 퐁피두센터 부산 분관을 유치하겠다며 막대한 공적자금을 쏟아부으려 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27일 부산시는 ‘세계적 미술관 부산유치 기대효과 및 활성화 전략 토론회’를 열고 퐁피두센터 부산 분관 운영 방향과 사업비 등을 공개했다. 자료에 의하면 건립을 위한 총사업비는 1000억원이 넘는다. 연간 운영비는 125억원 정도로 추정했다. 수백억원의 부지매입비와 매년 퐁피두센터에 지급해야 할 브랜드사용료 수십억원 등은 제외한 금액이다.반면 연간 총수입은 입장료와 임대 운영비를 합쳐 약 50억원으로 추산했다. 운영비와의 차액이 약 75억원이다. 2030년 무렵 개관부터 적자인 구조다. 이처럼 커다란 결손액이 예상되는데도 불구하고 분관을 끌어들이려는 이유는 세계적인 미술관 유치가 곧 세계적인 문화도시로 도약하는 것이라는 부산시의 착각에 있다. 퐁피두센터는 이미 사우디, 스페인, 벨기에, 중국 등 세계 곳곳에 분관이 있다. 한국만 해도 한화그룹이 내년 서울에 분관을 개관, 4년 동안 운영하게 된다. 한화가 재계약할 경우 퐁피두센터 분관이 두 개나 존재하는 세계 유일의 국가가 된다. 중복 논란이 나오는 배경이다.

프랑스 퐁피두센터는 2025년부터 전면 보수공사에 들어간다. 잇따른 해외 분관 설립도 경영 악화와 수천억원의 보수공사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서라는 사실을 알 사람은 다 안다. 부산시가 바라는 지역 미술계와의 상생이나 문화 교류 플랫폼 역할과는 사실상 거리가 있다. 결국 ‘외화벌이’를 통해 자신들의 경영위기를 타개하겠다는 퐁피두센터 속셈에 부산이 맞장구치는 모양새다.

퐁피두센터를 유치하는 대신 1000억원이 넘는 건립비와 운영비를 부산시립미술관과 부산현대미술관에 지원하면 소장품 수준은 훨씬 나아질 것이다. 그 돈이면 손가락 수보다 적은 전시기획 인력의 증원도 용이해지고, 부족한 시설을 보강하거나 전시의 질도 높일 수 있다. 세계 주요 비엔날레로 도약 중인 부산비엔날레나 부산 지역 작가들에게 투자할 경우 부산의 문화예술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이다.

제대로 된 행정 철학을 갖고 있는 지자체라면 장삿속 뻔한 외국 프랜차이즈 미술관 유치보다는 자신이 가진 것을 발전시켜 세계적인 미술관으로 만든다. 정준모 미술평론가의 말처럼 돈으로 명성을 사기에 앞서 “그들이 미술관을 움직이는 시스템”에 관심을 둔다. 부산시가 새겨들어야 할 조언이다.

홍경한 미술평론가

홍경한 미술평론가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