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략 통했다"...부활 시동 '우버 택시' 이용자 역대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버 택시'가 공격적인 전략으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서비스명 리브랜딩에 이어 프리미엄 서비스 '블랙' 출시, 택시기사 인센티브 확대 등을 추진하며 지난달 이용자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우티 관계자는 "리브랜딩 후 프로모션을 늘리고 공격적인 기사 인센티브 제공 등으로 택시기사(한국 전체 택시기사 중 약 20%가 우버 플랫폼 이용)와 이용자가 모두 확대됐다"며 "올 상반기 기준 사업 성장률(탑승자 숫자)은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리브랜딩 및 블랙 출시, 공격적인 마케팅 효과
'우버 택시'가 공격적인 전략으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서비스명 리브랜딩에 이어 프리미엄 서비스 '블랙' 출시, 택시기사 인센티브 확대 등을 추진하며 지난달 이용자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4일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8월 우버 택시 앱의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82만8340명을 기록했다. 전월(72만4345명) 대비 14.4% 증가한 수준이며 올해 1월과 비교해선 34.0% 증가했다. 이는 우버 택시가 2013년 한국 시장에 진출한 후 역대 최대치다. 종전 우버 택시의 최대 MAU는 지난해 9월의 74만465명이었다.
우버는 2013년 8월 우버엑스를 출시하며 한국에 진출했지만 불법 논란 등으로 철수했다. 그러다 8년 뒤인 2021년 4월 티맵모빌리티와 손잡고 합작법인 우티(법인명)를 출범했다. 그간 '우티'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올해 3월 '우버 택시'로 변경했다. 글로벌 플랫폼과 명칭을 일원화해 방한 외국인 이용률을 높이고, 글로벌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의도였다.
우버 택시의 이용자 증가는 공격적인 마케팅 및 프로모션이 주효했다. 우티 관계자는 "리브랜딩 후 프로모션을 늘리고 공격적인 기사 인센티브 제공 등으로 택시기사(한국 전체 택시기사 중 약 20%가 우버 플랫폼 이용)와 이용자가 모두 확대됐다"며 "올 상반기 기준 사업 성장률(탑승자 숫자)은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론칭한 프리미엄 택시 '우버 블랙'도 이용자 증가에 한몫했다. 우버 블랙은 외국인, 비즈니스 고객 등 특수 고객을 겨냥해 출시한 서비스다. 일반 택시보다 가격은 두 배 이상 비싸지만 기사가 직접 문을 열어주는 등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티 관계자는 "우버 블랙 이용자는 외국인이 대부분"이라며 "출시 후 이용자가 계속 증가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글로벌 CEO(최고경영자)가 한국을 직접 방문한 것도 국내 시장에 얼마나 공을 들이는지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지난달 30일 기자간담회에서 코스로샤히 CEO는 "우버에게 한국은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한국의 택시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고, 한국의 테크 기술은 우버의 성장 비전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티가 우버 택시 부활로 실적 반등을 이룰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현재 우티는 고질적인 적자 늪에 빠져있다. 사상 초유의 '마이너스(-) 매출'도 냈다. 우티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해 -10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출범 첫해인 2021년엔 45억원의 매출을 냈지만, 2022년 -129억원을 기록하더니 지난해까지 2년 연속 마이너스 매출이다. 적자 규모 또한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2021년 영업손실은 398억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568억원으로 확대됐다.
마이너스 매출은 매우 드문 경우다. 마이너스 매출이 발생한 이유는 우티가 최대주주인 우버의 매출 인식 방법을 따르기 때문이다. 우버는 2020년부터 택시기사에 대한 인센티브를 '매출원가'에서 '매출차감'(Contra Revenue)으로 변경했다. 기존엔 매출에서 매출원가(기사 인센티브)를 차감해 매출총이익을 냈다면, 매출차감은 매출에서 바로 기사 인센티브를 빼 매출을 산출한다. 수익이 없는 상태에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기사에게 현금성 인센티브를 과잉 집행하다 보니 마이너스 매출이 발생한 것이다.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띠동갑 교회 선생과 비밀 연애→20세 출산…2억 빚에 일 중독 '탄식' - 머니투데이
- 김수찬 측 "모친 '물어보살' 폭로 사실…경찰에 신변 보호 요청" - 머니투데이
- "프리킥 내가 찰게" 손흥민 공 뺏은 동료…"탈트넘해라" 팬들 뿔났다 - 머니투데이
- 하니는 결혼 미루고 현아는 강행…'예비 남편 논란'에 다른 행보 - 머니투데이
- 이정재♥임세령, 장동건·고소영 부부와 한밤 파티?…무슨 일 - 머니투데이
- "연예인 불러와 수능 전날 밤 '쩌렁쩌렁'"…대학축제에 학부모 뿔났다 - 머니투데이
- 사색이 된 수험생 "여기가 아니라고요?"…14km 25분에 주파한 경찰 - 머니투데이
- 채림 "이제 못 참겠는데"…전 남편 가오쯔치 관련 허위 글에 '분노' - 머니투데이
- 현대차 노조 '정년 퇴직 후 재고용 직원 조합원 자격 유지' 부결 - 머니투데이
- '호랑이 리더십' 조지호 경찰청장, 민생치안 설계자로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