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신경교세포 의한 사회성 행동 조절 기전 규명' 이성중 서울대 교수 9월 과학기술인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이성중 서울대 치의과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교수는 뇌를 구성하는 신경교세포에 의한 정서 및 사회성 행동 조절의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뇌과학 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이성중 서울대 치의과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교수는 뇌를 구성하는 신경교세포에 의한 정서 및 사회성 행동 조절의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뇌과학 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지난 100여 년간 뇌 작동원리는 신경세포 및 신경회로 관점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됐지만, 여전히 많은 뇌 기능 작동 원리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특히 사회적 동물 특징인 경쟁심과 우월행동은 진화론적으로 뇌 기능에 보존돼 있지만, 어떻게 뇌가 이를 일으키고 조절하는지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있었다.
이 교수는 그 원인을 뇌 속에 신경세포보다 훨씬 많이 존재하는 신경교세포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고 신경교세포 생리적 기능을 연구했다.
생쥐 뇌를 연구해 전전두엽 신경교세포 한 종류인 성상교세포 활동성 정도에 따라 우월행동 크기와 양상이 조절되며, 이에 따라 생쥐 사회적 서열이 결정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교수는 생쥐 성상교세포 내 칼슘 활동성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고, 우월행동을 하는 생쥐 뇌 영역을 모니터링한 결과 경쟁 과정에서 전전두엽 성상교세포 칼슘 활동성이 실시간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불안한 환경에서 뇌 속 해마영역 성상교세포 활성화가 일어나며, 이러한 성상교세포 활성이 항불안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함께 밝혔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간 신경세포 관점에서만 이해되던 불안감이나 경쟁심 등 고위 뇌 기능이 뇌 신경교세포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근래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불안장애나 사회성 장애 등 고위 뇌 기능 이상을 신경교세포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안 꺼진 전기차 불안…신차·중고가격 불똥
- SKT, 퍼플렉시티 AI검색 앞세워 美 시장 진출
- 삼성화재, 이륜차 안전운전땐 보험료 할인
- 주요국 중국산 철강재 '빗장'…韓, 후판 반덤핑 조사 움직임
- 브라질서 꼬리 내린 머스크?…“엑스 이어 스타링크 갈등”
- 尹이 지은 '디지털플랫폼정부', 브랜드화 착수
- LG그룹, 혁신 기술 보유한 스타트업 지원·발굴…“미래성장동력 확보”
- 기아, 첫 전기 PBV '니로 플러스' 2년 만에 단종 수순
- 한국GM 노사, 임단협 타결…기본급 10만1000원 인상
- 한달만에 재차 불거진 'R의 공포' 데자뷰…코스피·코스닥 3%대 폭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