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마늘 안정 생산, 파종부터 꼼꼼히 챙기세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농촌진흥청은 안정적인 마늘 생산을 위해서는 재배지역에 따라 파종 시기와 품종 선택 등 재배 요령을 숙지해야 한다고 4일 당부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마늘은 크게 난지형과 한지형으로 나뉘며, 재배 지역과 재배 형태에 따라 품종과 파종 시기를 달리해야 한다.
파종 시기가 빠르면 마늘쪽이 분화하는 2차 생장(벌마늘)이 발생할 수 있고, 늦으면 뿌리내림이 나빠져 건조 피해 등을 볼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주=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농촌진흥청은 안정적인 마늘 생산을 위해서는 재배지역에 따라 파종 시기와 품종 선택 등 재배 요령을 숙지해야 한다고 4일 당부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마늘은 크게 난지형과 한지형으로 나뉘며, 재배 지역과 재배 형태에 따라 품종과 파종 시기를 달리해야 한다.
난지형은 휴면(잠자는 기간)이 짧아 파종된 해 가을에 싹이 나온 상태로 겨울을 나고, 한지형은 난지형보다 휴면이 길어 파종 후 이듬해 봄에 싹이 난다.
남부 해안과 제주도 등 섬 지역에서는 난지형 마늘을 9∼10월 상순에 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지역에서 일반 재배보다 한 달 빨리 수확하는 조생 재배를 하려면 남도종, 고흥종, 장세미 등 난지형 조생 품종을 8월 하순∼9월 상순에 심는다.
중북부 지방에서는 한지형 마늘을 10월 상순∼하순에 파종하는 것이 안전하다. 파종 시기가 빠르면 마늘쪽이 분화하는 2차 생장(벌마늘)이 발생할 수 있고, 늦으면 뿌리내림이 나빠져 건조 피해 등을 볼 수 있다.
씨마늘 크기는 한지형은 4∼5g, 난지형은 5∼7g이 알맞다. 씨마늘은 병해충 피해가 없고 모양이 바른 것을 준비해야 한다. 마늘이 너무 크면 벌마늘이 되기 쉽고 너무 작으면 수확량이 줄어든다.
파종은 줄 사이 거리 15∼20㎝, 포기사이 거리 10∼15㎝를 두고 한다. 120㎝ 두둑에 골의 폭을 30∼40㎝로 만든다. 심는 깊이는 마늘쪽 길이의 2∼3배(5∼7㎝) 정도로 한다.
또 퇴비와 석회는 토양에 잘 스며들도록 마늘 파종 2주 전 뿌려 깊게 갈아준다. 밭이 아닌 논에 마늘을 심을 때는 이랑을 다소 높게 하고 배수로를 만들어 습기 피해를 미리 막도록 한다.
옥현충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파속채소연구센터장은 "마늘 농사를 준비 중인 생산자라면 안정적인 마늘 생산에 필요한 토양 관리부터 품종, 심는 시기까지 주의할 점을 미리 꼼꼼히 챙겨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chinaki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美 난임부부, AI 기술로 남편 정자 찾아내 18년만에 임신 성공 | 연합뉴스
- 영화 '킬빌''저수지의 개들' 배우 마이클 매드슨, 67세로 별세 | 연합뉴스
- 노래방 도우미 불러 라이브 방송한 서울시 공무원 해임 | 연합뉴스
- 리버풀 공격수 조타, 자동차 사고로 숨져…결혼 10여일 만에 비극 | 연합뉴스
- 아파트 8층 외벽서 50대 추락…비가림 시설로 떨어져 경상 | 연합뉴스
- [샷!] '대지진설'에 홍콩서는 日여행 취소한다는데… | 연합뉴스
- 부모 외출 후 집에 있던 초등·유치원생 자매 화재로 숨져(종합3보) | 연합뉴스
- '마약류 상습투약' 유아인, 대법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확정(종합) | 연합뉴스
- 태국서 방치된채 개 6마리와 자란 8세 소년…"말 못하고 짖기만" | 연합뉴스
- "각서 써" 부하직원끼리 결혼 강요한 직장상사 징역형 집유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