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병상련 韓日中 "일가정 양립으로 저출생극복"

류영욱 기자(ryu.youngwook@mk.co.kr) 2024. 9. 3. 18: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급격한 인구 감소 위기에 내몰린 한·일·중 3국의 전문가들이 저출생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일·가정 양립 정책을 확산하고 선진국 수준으로 공공지출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세계 최저 수준의 출생률을 기록 중인 한국은 물론 고령화 국가인 일본, 인구대국 중국도 악화 일로를 걷는 저출생 문제가 3국 공통의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복지부 '한일중 인구포럼'
"결혼하겠다" 젊은층 반토막
韓 "복지서비스 일변도 탈피"
日 "젊은층 의식 변화 지원"
中 "선진국 수준 공공지출을"

급격한 인구 감소 위기에 내몰린 한·일·중 3국의 전문가들이 저출생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일·가정 양립 정책을 확산하고 선진국 수준으로 공공지출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세계 최저 수준의 출생률을 기록 중인 한국은 물론 고령화 국가인 일본, 인구대국 중국도 악화 일로를 걷는 저출생 문제가 3국 공통의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3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개최한 '2024년 제1차 한·일·중 인구포럼'에서 3국 전문가들은 저출생 확산을 우려하며 출산을 늘릴 실질적인 방안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상림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청년 세대의 결혼·출산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뀌었다는 점을 짚었다. 이 연구원에 따르면 '결혼을 해야 한다' '결혼을 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미혼 남성 비율은 1998년 75.5%에서 2022년 39.8%로 반 토막 났다. 미혼 여성의 응답은 같은 기간 52.1%에서 23.5%로 더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결혼을 안 하는 것이 좋다'는 부정 응답 비율은 남녀 모두 10% 안팎이었다. 이 연구원은 "청년 세대가 결혼에 찬성하는 비율은 낮아졌지만 결혼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며 "저출생 정책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정부의 저출생 정책 목표가 초기 임신·분만 위주에서 젠더·노동·주거 등으로 확대됐지만, 실제 정책은 복지 서비스 위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서비스, 현금 지원 중심의 사업들만 나열하면서 저출생을 비용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며 "저출생은 다층적 경험과 사회구조가 쌓여 만들어진 문제로 청년의 인식과 경험, 미래에 대한 기대를 다면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모리이즈미 리에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도 청년들의 인식 변화를 저출생의 주요 변수로 봤다. 일본의 18~34세 미혼 남성 중 '평생 결혼할 생각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2010년 9.4%에서 2021년 17.3%로 뛰었다. 여성 역시 6.8%에서 14.6%로 두 배 이상 늘었다. 모리이즈미 연구원은 "2015년 전후 일본 청년들의 결혼·출산·육아에 대한 전통적 인식이 급격히 후퇴했고, 비혼·무자녀·이혼·아이 가진 여성의 취업 등이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추세"라고 했다. 이어 "저출생 추세를 바꾸기 위해서는 제도와 지원 방안뿐만 아니라 젠더 의식과 결혼·출산에 대한 규범 변화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우 양 중국사회과학원 인구·노동경제연구소장은 중국 역시 다른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빠른 경제 성장이 출생률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봤다.

그는 중국이 선진국 수준으로 가족에 대한 공공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류영욱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