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아마존도 탐내는 ‘K뷰티 밸류체인’의 힘

박은서 2024. 9. 2.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패션 플랫폼 무신사는 오는 6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일대에서 뷰티 팝업스토어 행사인 '무신사 뷰티 페스타 인 성수'를 개최한다.

국내 대표 뷰티 플랫폼인 CJ올리브영 매출의 80% 이상이 중소기업 브랜드에서 나온다.

중소 뷰티 브랜드의 성장엔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등 ODM 업체를 빼놓을 수 없다.

'원료회사→ODM→중소 브랜드→유통 플랫폼'으로 이어지는 K뷰티 밸류체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기브랜드 화장품 수출 70% 육박

원료 공급·위탁생산·유통까지
‘K뷰티’ 생태계 경쟁력 커진다

패션 플랫폼 무신사는 오는 6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일대에서 뷰티 팝업스토어 행사인 ‘무신사 뷰티 페스타 인 성수’를 개최한다. 41개 중소 뷰티 브랜드를 소개하는 대규모 행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2021년 무신사 뷰티 론칭 당시 800여개였던 입점 브랜드 수가 1700여개로 늘었고, 지난 상반기(1~6월) 고객도 전년보다 78% 증가하는 등 K뷰티로 통하는 국내 화장품 사업의 성장성을 확인한 영향이 크다.

경기 불황에도 K뷰티 브랜드의 성장세가 거세다. 화장품 제조자개발생산(ODM) 회사가 막강한 기술력과 생산력으로 이들의 활약을 뒷받침하며 원료 공급부터 판매까지 ‘K뷰티 밸류체인’에 속한 회사들이 최대 실적을 거뒀다. 패션 플랫폼은 물론 해외 이커머스 업체까지 K뷰티 유치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는 이유다.

K뷰티의 성장은 중소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상반기 전체 화장품 수출액 중 중소기업의 비중은 68.7%로 2년 전 55%에서 더 높아졌다. 중소기업 화장품 수출 금액은 33억 1000만 달러(약 4조 4320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0.8%가 늘어난 반면 대기업 수출은 23.0% 감소했다.

내수 시장에서도 국내 중소 뷰티 브랜드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국내 대표 뷰티 플랫폼인 CJ올리브영 매출의 80% 이상이 중소기업 브랜드에서 나온다. 올리브영에서 100억원 이상 매출을 기록한 중소기업 비중도 2020년 39%에서 지난해 51%로 크게 늘었다.

국내 중소 뷰티 브랜드의 활약은 뷰티 트렌드의 변화와 맞물려 있다. 화장품 업계 관계자는 “한국 문화 콘텐츠에 대한 선호, 인플루언서의 쇼트폼(짧은 영상)으로 브랜드 홍보가 활발해지면서 로레알과 에스티로더를 선호하던 미국 시장조차도 중소 브랜드에 관심이 커졌다”고 말했다.

해외 이커머스 플랫폼들도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K뷰티 제품만 모아 둔 전문관을 이달 중 오픈할 예정이다. 아마존은 지난 6월 한국 뷰티 브랜드의 수출을 지원하는 ‘프로젝트 K뷰티 고 빅’을 발표했다. 동남아 기반의 쇼피도 K뷰티 수요가 커지자 전담하는 영업관리팀을 따로 둘 정도다.

중소 뷰티 브랜드의 성장엔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등 ODM 업체를 빼놓을 수 없다. 자체 생산시설이 없는 중소 브랜드의 주문을 받아 위탁생산을 한다. 반도체로 치면 ‘파운드리’ 업체다. ‘원료회사→ODM→중소 브랜드→유통 플랫폼’으로 이어지는 K뷰티 밸류체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콜마의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14% 늘어난 1조 2351억원, 영업이익은 54% 증가한 1042억원을 기록했다. 코스맥스 매출도 22.2% 늘어난 1조 783억원으로 처음 1조원을 넘겼다.

화장품 원료를 공급하는 현대바이오랜드는 전년 대비 25% 증가한 645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반기 실적을 냈다. CJ올리브영의 상반기 매출(2조 2872억원)도 역대 최대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처럼 K뷰티 산업의 유기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글로벌 시장 경쟁력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은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