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코스닥의 정체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업공개(IPO) 시장이 빠르게 식고 있다.
지난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은 총 132곳.
올해 코스닥에 진입한 기업의 평균 상장 자본금은 33억원에 불과하다.
이제 코스닥은 기술력 있는 유망기업을 위한 시장이라기보다는 적자기업도 쉽게 상장할 수 있는 시장이라는 지적도 듣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업공개(IPO) 시장이 빠르게 식고 있다. '따상', '따따상'을 이어갔던 이전과는 크게 다른 모습이다. 상장 첫날 종가가 시초가에 못 미치는 것은 물론이고, 시초가가 공모가를 밑도는 상황도 적잖이 벌어진다.
신규상장기업이 밀려들지만, 충분한 '옥석가리기'가 이뤄지지 않았던 결과다. 지난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은 총 132곳. 상장 기업 기준으로는 2000년대 초반 IT붐 이후 가장 많은 기업이 코스닥에 입성했지만, 정작 공모금액은 줄었다.
규모도 점차 작아지고 있다. 올해 코스닥에 진입한 기업의 평균 상장 자본금은 33억원에 불과하다. 2017년 신규 코스닥 진입 기업의 평균 자본금의 52억원의 3분의 2에도 못미칠 정도다.
이미 상장 문턱이 크게 낮아진 상황에서 크게 확대된 가격 제한폭은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기업을 자극하고 있다.
청약 경쟁 열풍, 희망가를 크게 초과한 공모가, 따상·따따상 이후의 주가하락 그리고 보호예수 해제 지분 대량 매각은 어느새 공식이 됐다. 1년 넘게 이어진 이 공식에 피로가 쌓인 투자자는 다시 코스닥을 외면하기 시작했다.
가격발견 기능 확대라는 명분으로 이뤄진 실험이 남긴 상처는 적지 않다. 이제 코스닥은 기술력 있는 유망기업을 위한 시장이라기보다는 적자기업도 쉽게 상장할 수 있는 시장이라는 지적도 듣는다. 무자본 인수합병(M&A)세력은 활개를 치고 있지만 퇴출은 쉽지 않다.
코스닥은 벤처 투자의 중요한 회수시장이다. 그렇다고 아무 기업에게나 문턱을 낮춰줘선 안된다.
기술주 중심의 시장이라는 당초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게 시급하다. 내후년이면 코스닥도 30주년을 맞는다. 필요한 경우 부실·좀비기업은 빨리 퇴출시켜 시장 신뢰를 높여야 한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과기정통부, 5G 주파수 '최대 510㎒ 폭' 넓힌다
- 벤처투자 시장 장기침체…초기 스타트업 소외 심화
- '민생'은 공통, 실현 방안은 차이…한동훈 '금투세 폐지' 이재명 '유예'
- 여야 대표 회담, 동상이몽 속 민생국회 외쳐
- 한동훈-이재명 '민생공통공약 추진 협의기구' 운영 합의…'해병대원 특검법'은 합의 불발
- '한국보다 먼저 잡는다'…中 OLEDoS 잇단 양산 투자
- '빅테크 머니' 동남아로 몰린다···AWS, 말레이에 리전 구축·구글, 베트남 리전 추진
- 디플정 모델 기반 '해외 사업화' 규모 1조 4300억원
-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16〉 [AC협회장 주간록26] 한국 스타트업 베트남 진출과 KAIA 역할
- 국내 제약바이오 R&D 확대 지속…글로벌 격차는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