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것 또는 더 나쁜 것만 있는 곳”… 80년 지나도 끔찍한 아우슈비츠 참상 [주말 뭐 볼까 OTT]

라제기 2024. 8. 31. 14: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주※ 차고 넘치는 OTT 콘텐츠 무엇을 봐야 할까요.

아우슈비츠가 해방(1945년)된 지 80년이 다 됐다고 하나 수용소에서 벌어진 일들을 들여다보는 건 여전히 끔찍하다.

아우슈비츠는 "나쁜 것과 더 나쁜 것만 있는 곳"(극 중 대사)이다.

드라마는 작가 헤더 모리스의 소설 '아우슈비츠의 문신가'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웨이브 드라마 '타투이스트 오브 아우슈비츠'
편집자주
※ 차고 넘치는 OTT 콘텐츠 무엇을 봐야 할까요. 무얼 볼까 고르다가 시간만 허비한다는 '넷플릭스 증후군'이라는 말까지 생긴 시대입니다. 라제기 한국일보 영화전문기자가 당신이 주말에 함께 보낼 수 있는 OTT 콘텐츠를 2편씩 매주 토요일 오전 소개합니다.
랄리는 아우슈비츠 수용소가 만들어질 무렵 끌려간 유대인이다. 그는 살아남아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원한다. 웨이브 제공

웨이브 바로 보기 | 6부작 | 15세 이상

반인류범죄 하면 떠오르는 단어가 있다. 홀로코스트와 아우슈비츠다. 올해 국내 극장가에서 화제가 된 영화 ‘존 오브 인터레스트’(2023)는 아우슈비츠수용소와 홀로코스트를 소재로 했다. 수용소에서 벌어지는 끔찍한 일들은 먼 곳에서 들리는 소리로 처리하고, 수용소 옆에 ‘꿈의 저택’을 일구며 살아가는 수용소장 가족의 모습을 시청각으로 묘사했다. 피해자의 고통을 보여주지 않고 가해자의 안락을 보여줌으로써 당시 참상을 더 생생히 전한다는 평들이 따랐다.


①부역자라고 별다르지 않았던 곳

랄리는 강제 수용되는 유대인의 팔에 숫자를 문신하다가 평생의 사랑 기타를 만난다. 웨이브 제공

아우슈비츠가 해방(1945년)된 지 80년이 다 됐다고 하나 수용소에서 벌어진 일들을 들여다보는 건 여전히 끔찍하다. 올해 선보인 드라마 ‘타투이스트 오브 아우슈비츠’가 이를 웅변하듯 보여준다.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듯 문신가가 주인공이다. 수용소 유대인들의 왼쪽 팔목에 수인번호처럼 숫자를 문신하던 이다.

랄리(조나 하우어 킹)는 슬로바키아의 유대인이다. 그는 당황스러운 포고령을 듣는다. 유대인 가족에서 성인 남자 1명이 나치 부역을 위해 의무적으로 자원해야 한다는 것. 랄리는 아버지와 형을 대신해 나선다. 짐승처럼 열차에 실려 그가 도착한 곳은 아우슈비츠다.


②독일은 계속 사죄하는 게 맞다

기타는 랄리와 격리해 수용돼 있으나 갖은 위험을 무릅쓰고 사랑을 이어나간다. 웨이브 제공

랄리는 학살이 본격화되기 전 수용소 시설 건설에 동원된다. 살인적인 생활 환경 속에서 그는 운 좋게 문신가로 ‘간택’된다. 수용소에 갇힌 유대인과 집시 등이 선망할 일이지만 부역자로 낙인찍히기도 한다.

영화는 노년의 랄리(하비 케이텔)가 회상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그는 자신의 삶을 글로 정리해줄 이로 아마추어작가 헤더(멜라니 린스키)를 택한다. 랄리는 ‘사랑 이야기’를 쓰겠다고 운을 뗀다. 그가 평생의 사랑 기타(안나 프로츠니아크)를 아우슈비츠에서 만났기 때문이다.

화면은 끔찍한 모습들로 채워진다. 나치는 의학 실험이 끝난 여성들을 한겨울 밤 나체로 내버려둔다. 유대인이 병이 들면 바로 총살시킨다. 부역자 랄리 역시 여러 번 죽음의 고비를 넘긴다. 아우슈비츠는 “나쁜 것과 더 나쁜 것만 있는 곳”(극 중 대사)이다. 과거사에 대한 독일의 태도를 칭찬하는 이들이 많은데, 독일은 계속 사죄해야 마땅하다.


③끔찍한 역사를 소환해야 하는 이유

노년의 랄리는 아마추어 작가 헤더를 만나 자신이 아우슈비츠에서 겪은 일들을 들려준다. 웨이브 제공

헤더는 홀로코스트를 풍문처럼 접한 전후 세대다. 유럽인이 아닌 호주인이라 물리적 거리감을 느끼기도 한다. 그는 랄리의 말을 들을수록 끔찍함에 고개를 젓는다. 집필을 포기할까 고민할 정도로 마음의 고통을 느낀다.

드라마는 작가 헤더 모리스의 소설 ‘아우슈비츠의 문신가’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홀로코스트 생존자 랄리 소콜로프(1916~2006)의 실화를 극화한 책이다. 소설과 달리 드라마는 작가 헤더를 등장시킨다. 오랜 세월이 지나도 기억할 과거가 있다는 걸 강조하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

뷰+포인트
랄리는 살아남는 게 나치에 대한 복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가 기타를 만나지 못했고, 서로 사랑을 나누지 못했다면 과연 삶에 대한 희망을 품을 수 있었을까. 드라마에서는 나치의 만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진한 인간애가 등장하기도 한다. 어둠이 짙으면 빛이 강렬하듯, 강제수용소에서 피어나는 휴머니티는 마음에 강한 진동을 남긴다. 이스라엘 감독 탈리 샤롬-에저가 연출했다. 유명 영화음악가 한스 치머가 음악을 담당했고, 가수 바브라 스트레이샌드가 삽입곡 ‘사랑이 살아 남으리라(Love Will Survive)’를 불렀다.
***로튼 토마토 신선도 지수: 평론가 76%, 시청자 72%
***한국일보 권장 지수: ★★★☆(★ 5개 만점, ☆ 반 개)

라제기 영화전문기자 wender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