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보전, ‘시민과학’ 참여 확대에 달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리창과 투명 방음벽에 충돌해 사망한 조류의 피해를 시민이 직접 조사하고 공유하는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 조사'는 대표적인 '시민과학' 사례로 꼽힌다.
지난 28일 오후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이 연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을 위한 시민단체 간담회'에서는 그 대책으로 시민과학의 확대와 여성·청소년·장애인을 논의에 포함시키는 등의 방안이 공유됐다.
그러나 시민과학이 실제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려면, 관찰 기록이 제대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 ‘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간담회
유리창과 투명 방음벽에 충돌해 사망한 조류의 피해를 시민이 직접 조사하고 공유하는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 조사’는 대표적인 ‘시민과학’ 사례로 꼽힌다. 2019년 자연활동 공유 플랫폼 ‘네이처링’을 중심으로 시작된 이 프로젝트에선 현재 5만4100여 건의 관찰 기록이 온라인에 올라와 있는데, 시민들의 방대한 기록은 조류 충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지난 2022년 실제 관련 법 개정으로 이어졌다.
아일랜드의 ‘시민생물다양성의회’는 정부가 시민의 참여를 환경보호 정책에 반영한 사례로 꼽힌다. 아일랜드 정부는 지난 2022년 시민 99명을 무작위로 선출해 의회를 구성했다. 시민 의회는 6개월 간 회의를 진행해 해양 환경, 습지 생태, 담수 자원 보호 등의 의제를 논의한 뒤 159개 권고안을 도출했는데, 아일랜드 정부는 이 가운데 일부를 국가 생물다양성 보전 계획에 포함시켰다.
이처럼 성공적인 생물다양성 보전·복원을 위해서는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난 28일 오후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이 연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을 위한 시민단체 간담회’에서는 그 대책으로 시민과학의 확대와 여성·청소년·장애인을 논의에 포함시키는 등의 방안이 공유됐다.
지난해 12월 우리나라는 국무회의에서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이하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을 의결했는데, 이는 2022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유엔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당시 채택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 이하 프레임워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당시 회원국들은 ‘2030년까지 전 지구 육지와 해안,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정한다’는 이른바 ‘30x30 목표“에 합의했다. 육지 및 해상의 국립공원, 습지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등을 늘려서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한다는 취지다.
우리나라 국가생물다양성전략도 △생물다양성 위협요인 저감 △지속가능 이용 및 이익공유 확대 △(전략) 이행과 주류화 수단 강화 등을 큰 틀로 21가지 세부 목표를 2030년까지 이행한다는 계획인데, 이를 위해서는 지역 주민·기업·여성·청소년·장애인 등 다양한 시민의 공감과 참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양해리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 사무관은 “전략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서는 사회 모든 집단의 견해와 관점, 경험과 의사결정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면서 “여성·청소년·장애인 등의 의견을 청취하고,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생물 다양성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수립 단계에서 대국민 토론회와 간담회 등을 진행했다고 한다.
그러나 시민과학이 실제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려면, 관찰 기록이 제대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성준 녹색연합 활동가는 “보호구역 내 난개발 모니터링, 지역 생태공간 발굴 등 시민과학은 굉장히 유용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실제 활용가능한 정보로 인정 받을 수 있는냐는 늘 논란거리”라면서 데이터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강재신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총괄과 과장은 “많은 시민들이 이미 크거나 작게 시민과학 활동을 하고 있다”면서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전국 17개 지자체와 생물다양성전략 협의체를 운영 중”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는 국가 전략에 부합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4~5개의 방안을 만들어 지원할 예정인데 ‘시민과학’과 ‘인재양성’이 핵심 방안에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립생물자원관은 오는 30일부터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대응을 위한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 안내서’를 누리집(www.kbr.go.kr)에 공개할 예정이다. 더 다양한 구성원이 생물다양성 보존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글·사진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파리에서 나라 망신…체육회 ‘퇴근 전 30분은 정리시간’ 임금 빼먹어
- 조국 “이상직 모른다”…‘물음표 컵’ 들고 온 의미는
- 여당서도 “국민 생명 우선돼야”…정부에 의료개혁 ‘융통성’ 주문
- “보복보다 공존을” 이스라엘의 중심에서 평화를 외치다
- 참으로 어디에나 있다, ‘나의 자리’에서 숨 쉬는 여성들
- 윤 대통령 앞 “the BUCK STOPS here!” 명패…그래서 언제쯤?
- “김정은과 잘 지내야 현명하다”…트럼프 ‘해리스 출사표’ 비꼬기
- 여자 아이돌 표적 삼는 딥페이크…트와이스·권은비 “선처 없다”
- 경찰, 일할 시간에 잤다…‘순찰차 사망’ 전 파출소 찾아갔지만
- 이승만 앞에 ‘독재’ 지운 새 역사교과서...“왜곡된 수업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