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GI, 기후위기에 꼭 필요한 글로벌자산으로 만들 것”

고정애 2024. 8. 31. 00: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년 1월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사무총장으로 부임하는 김상협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 민간위원장. ‘녹색성장’을 강조하는 취지에서 머리카락을 녹색으로 염색했다. [사진 탄녹위]
12년 전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국제기구를 만들었다고 떠들썩했다. 개발도상국의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을 지원한다는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다. 정권이 바뀌면서 ‘녹색성장’이 홀대를 받는다는 얘기가 나오더니 이후엔 그런 유의 말조차 들리지 않았다.

그러던 차 22일 GGGI의 새 사무총장에 김상협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 민간위원장이 임명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한국인 최초다. 이명박(MB) 정부 시절 대통령 참모로 GGGI 설립에 기여한 그는 이후 정부에서 녹색성장을 외면하자 항의 차원에서 머리카락을 녹색으로 염색하고 다녔다.

내년 1월부터 임기를 시작한다는 그를 26일 만났다. 그는 “16개국으로 시작한 GGGI가 48개국이 가입한 기구가 됐다”며 “기후위기 시대인 이젠 없으면 안 되는 글로벌 자산으로 만들겠다. 세계가 꼭 필요한 기구란 걸 입증해내겠다”고 했다. 양적 성장을 질적 성장으로 바꾸겠다는 뜻이다.

Q : 12년 만이다.
A : “올해 5월 서치 컴퍼니에서 ‘GGGI 사무총장을 뽑는 데 지원할 생각이 없냐’는 e메일이 날아왔다. 한국이 할 차례란 주변의 조언에 도전하게 됐다. 90여 명이 지원했다는데 최종 후보엔 5명이 올랐다. 7월 9·10일 양일에 걸쳐 인도네시아 재무장관 등 7개국 8명의 후보선정위 앞에서 발표하고 심층 인터뷰를 했다. 굉장히 기쁜 건 압도적 다수(8명 중 7명)가 나를 지지했다는 것이다.”
GGGI는 한국 주도로 설립됐지만, 역대 사무총장은 미국·호주·네덜란드 출신이 맡았다. 현 총장(프랭크 리즈버만)도 네덜란드인이다.

Q : 일종의 창업 공신이다.
A : “쭉 한 길을 간 게 어필했던 듯하다. (대통령실을 나온 후엔) KAIST에서 녹색성장대학원 교수로 있고 ‘우리들의 미래’란 조그맣긴 하지만 기후에너지콘퍼런스를 열며 녹색성장의 명맥을 유지했다. 원희룡 제주지사 시절 제주연구원장으로 ‘카본프리’를 했고 현 정부에선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장이다. 일관성을 본 것 같다.”

Q : GGGI가 기대만큼 성장했나.
A : “자체 예산이 1000억원을 돌파했고 회원 수도 늘었다. 100억 달러(약 13조원) 규모의 민관 파트너십도 구축했다고 한다. 다만 GGGI는 중요 국제기구처럼 딱 ‘이것이다’란 건 약했던 듯하다. 임팩트를 일으키고 싶다.”

Q : 어떤 복안인가.
A : “200여 개의 프로젝트를 해왔다는데 GGGI를 대표하는 게 뭐냐고 하면 잘 말을 못한다. 앞으론 한 국가에 하나 정도는 GGGI의 대표상품으로 키우려고 한다. 인공지능(AI)을 가장 잘하는 국제기구가 되려고도 한다.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가 예로, AI가 여러 국가 상황을 파악해 그걸 달성할 수 있는 기술과 자금, 사람을 파악해 제공하는 것이다. 국제에너지기구의 세계에너지 보고서(World Energy Outlook)는 만인이 보는 보고서다. GGGI도 ‘글로벌녹색성장 아웃룩’을 내려고 한다. 큰 기구가 되려면 ‘소트 리더십(thought leadership·지적 리더십)’도 있어야 한다고 봐서다.”

Q : 한때 한국에서 ‘녹색성장’이 실종됐다.
A : “일본이 2021년 탄소중립을 위한 국가전략보고서를 냈는데 그게 녹색성장전략보고서다. 중국도 2009년 부주석이던 시진핑이 MB를 만나 중국판 녹색성장을 하겠다고 했고 실제로 했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 미국이 다시 올라가려면 세 가지 코어테크놀로지를 중심에 둬야 한다고 했는데 바이오·AI·클린에너지다. 우리가 먼저 본 게 틀림없다. 그게 이어지질 못했다.”

Q : 현 정부가 재생에너지를 외면하고 원전만 강조한다는 지적이다.
A : “처칠은 ‘대영제국의 에너지 안보는 버라이어티, 버라이어티, 버라이어티에 있다’고 했다. 에너지 믹스의 원조다. 문재인 정부에서 탈원전으로 가서 (현 정권에서) 원전을 살리다 보니 원전에 대한 강조가 많았다. 재생에너지도 할 수 있는 만큼 최대치를 할 거다.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궁합을 잘 맞춰나가야 한다.”

고정애 기자 ockha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