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적자 10배 … 저축銀도 3800억 손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의 올해 상반기 실적이 1년 전과 비교해 크게 악화된 것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를 포함한 상호금융권이 돈을 빌려준 PF 사업장 중 구조조정 대상인 유의·부실 우려 단계의 규모가 이미 15조원에 달할 정도로 커졌다.
금감원과 행안부는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이 보유한 PF 대출이 부실화할 경우를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규모 대손충당금을 쌓았고, 충당금 적립액만큼 적자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금융發 부동산 PF 위기설에
막대한 적자 감수하며 충당금
하반기 추가부실 여부에 주목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의 올해 상반기 실적이 1년 전과 비교해 크게 악화된 것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를 포함한 상호금융권이 돈을 빌려준 PF 사업장 중 구조조정 대상인 유의·부실 우려 단계의 규모가 이미 15조원에 달할 정도로 커졌다. 금융당국과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PF 부실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해당 업권별로 대규모 대손충당금을 쌓은 데 따른 결과라고 해명하고 있다. 하지만 PF 구조조정 과정에서 추가 연체율 상승 가능성이 열려 있어 당분간 위기감이 고조될 전망이다. 결국 올 하반기 PF 시장 연착륙 여부에 향후 2금융권의 운명이 달려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30일 금융감독원과 행안부 발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저축은행, 상호금융조합(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 새마을금고의 영업실적은 곤두박질쳤다.
손실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새마을금고다. 행안부는 올 상반기 1284개 새마을금고가 순손실 1조2019억원을 내며 역대 최대 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1236억원 손실)보다 1조원 넘게 손실폭이 확대된 것이다.
저축은행의 당기순손실은 총 3804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965억원 적자)보다 적자폭이 2839억원 늘어났다. 상호금융조합은 새마을금고, 저축은행과 달리 순이익 기조를 유지했다. 하지만 올 상반기 순이익이 1조639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186억원) 대비 47.3% 급감했다.
금감원과 행안부는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이 보유한 PF 대출이 부실화할 경우를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규모 대손충당금을 쌓았고, 충당금 적립액만큼 적자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올 상반기에만 1조4000억원 규모의 신규 충당금을 적립했다.
막대한 적자를 감수하면서까지 충당금을 쌓아올린 것은 2금융권발(發) PF 위기설이 여전한 상황에서 불가피한 조치다.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으면 추후 손실이 발생해도 충당금으로 이를 대체할 수 있다.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금융사의 PF 사업장 중 연체 등 문제가 있는 사업장을 1차로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유의·부실 우려로 분류된 사업장 규모만 총 21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PF 신용공여 216조5000억원 대비 9.7% 수준이다. 유의·부실 우려 사업장 중에서 새마을금고를 포함한 상호금융업권이 9조9000억원, 저축은행이 4조5000억원으로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이어진 PF 관련 리스크는 2금융권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의 발목을 잡고 있다. 저축은행업권의 올해 상반기 기준 연체율은 8.36%를 기록했다. 연체율은 2022년 말 3.41%, 작년 상반기 5.33%, 지난해 말 6.55%보다 더 늘었다. 특히 PF 관련 건전성 위기가 커지면서 PF 대출이 주를 이루는 기업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말 8.02%에서 반년 만에 11.92%로 뛰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 역시 올해 상반기 말 기준 11.52%까지 치솟았다.
새마을금고도 올해 6월 말 기준 연체율이 7.24%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5.41%)보다 1.83%포인트, 지난해 말(5.07%)보다는 2.17%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등에 대한 시장 우려가 높아지며 금융당국과 행안부, 해당 업권에서는 건전성 관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저축은행 연체율과 관련해 금감원 관계자는 "PF 대출 연착륙 방안 등에 따른 건전성 관리 강화에 기인한 것으로 다소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2011년 말 저축은행 사태(당시 연체율 20.3%)와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채종원 기자 / 양세호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남진 “지금의 나 만든 건 월남 파병”...‘그분’이 1년 더 연장시켰다는데 무슨 일? - 매일경제
- 혼자 강에 간 3세 손자 숨져…할아버지는 휴대폰 SNS에 푹 빠져 몰랐다 - 매일경제
- 결혼할 여친이 男 57명과 성관계, 별점 매긴 ‘X파일’에 남친 경악 - 매일경제
- “국민은 명절에 10원도 못받는데 국회의원은 떡값 850만원”..김홍신 “특권 없애고 과장급 연봉
- “저다운 배드민턴 보여주겠다”…고향서 환대받은 안세영, ‘협회 언급’ 없었다 - 매일경제
- “최고 인재들 묵는 곳인데”…부영그룹 회장, 카이스트에 200억 통 큰 기부 - 매일경제
- “010으로 보이스피싱 번호 조작”…잡고보니 말레이시아인, 징역 2년형 - 매일경제
- “이 모습 알아본 머스크”...김예지 루이비통 화보 나왔다 - 매일경제
- “교황이 흰색 롱패딩 입고 나타났다” 전세계 발칵…딥페이크 한국도 습격, 여야 모처럼 ‘합
- 중국 최고 유망주 “이강인? 따라잡지 못할 격차”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