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물 수입 ‘중국’ 최다...돼지고기·냉동명태·김치 등 수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2023년 국내로 수입된 식품 등은 165개 국가에서 79만 2000여건, 1838만톤, 348억3000만 달러(한화 약 86조원) 상당으로, 전년 대비 수입 건수는 1.2%, 중량은 5.6%, 금액은 8.6%가 감소했다고 30일 밝혔다.
수입식품 품목군별로 보면 지난해 국내 수입식품의 약 60%를 차지하는 농·임·축·수산물 수입량은 약 1095만 톤으로 전년 대비 9.1% 감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2023년 국내로 수입된 식품 등은 165개 국가에서 79만 2000여건, 1838만톤, 348억3000만 달러(한화 약 86조원) 상당으로, 전년 대비 수입 건수는 1.2%, 중량은 5.6%, 금액은 8.6%가 감소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식품 등은 총 165개국에서 수입됐으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 미국, 호주 순으로, 이들 국가로부터 수입된 양이 전체의 48.4%(888만 톤)를 차지했다.
가공식품 주 수입국인 중국의 수입 물량(331만톤)은 4.4% 증가한 반면 농산물 주 수입국인 미국(290만톤)과 호주(268만톤)의 수입 물량은 각각 15.2%, 9.5% 줄었다.
수입식품 품목군별로 보면 지난해 국내 수입식품의 약 60%를 차지하는 농·임·축·수산물 수입량은 약 1095만 톤으로 전년 대비 9.1% 감소했다.
축산물 수입량 비율을 살펴보면 지난 2년간 돼지고기(30%)가 1위, 소고기(29%)가 2위를 차지한 가운데 돼지고기(부산물 포함)의 수입량 감소 폭(7.9%)이 두드러졌다.
수산물 역시 전년 대비 수입량 하락 폭(18.6%)이 컸다. 수산물 수입 상위 품목인 냉동 명태 수입량이 전년에 비해 56.6% 감소했는데, 이는 러시아산 냉동 명태의 수입이 많이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가공식품 수입량은 650만 톤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김치 수입량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김치는 전년 대비 9% 증가한 28만7000톤이 수입됐고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됐다.
한편 작년에 수입 신고된 수입식품 등에 대한 검사결과, 61개국의 301품목, 1366건(0.17%), 7002톤(0.04%)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국내 반입이 차단됐다.
국가별로 ▲중국 ▲베트남 ▲미국 ▲이탈리아 ▲인도 순으로 부적합이 많이 발생했으며, 이들 5개 국가의 부적합은 854건으로, 전체 부적합 건수의 62.5%를 차지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D현대일렉, 스웨덴서 662억 규모 초고압변압기 수주
- “이자 장사 잘했네” 토스뱅크 4분기 연속 흑자
- 대방건설, 수도권 중심 공급 확대 계획
- 車업계 60% "하반기 신입 뽑아요"…여행·숙박·항공은 채용계획 '급감'
- [속보] 2026년 의대정원 논의…의료인력 추계·조정 기구 연내 출범
- "설마 했는데 이럴 줄이야"...아파트 값 또 치솟나?
- “아프니깐 사장 안한다” 소상공인 폐업 공제금 역대 최대치
- “1인당 가계대출 1억 육박” 기준금리 올려도 증가세
- "줄줄이 좌초" 리더십 공백에 상속세 개편·기업지원 올스톱
- 11월에만 60만명↑···국내 코인 투자자 1500만명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