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발레 스타 전민철의 무대 만나고 왔습니다[알쓸공소]

장병호 2024. 8. 30. 14: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8일 공연한 마포문화재단 '해설이 있는 발레'
발레리노 김용걸 해설, 창작발레 세계 소개
전민철, 선배 발레리나 김지영과 2인무 '산책'
탄탄하면서도 안정적인 감정 연기로 이목 집중
보이는 대로 느끼면 되는 창작발레 매력 공유
‘알쓸공소’는 ‘알아두면 쓸모 있는 공연 소식’의 줄임말입니다. 공연과 관련해 여러분이 그동안 알지 못했거나 잘못 알고 있는, 혹은 재밌는 소식과 정보를 전달합니다. <편집자 주>
지난 28일 서울 마포구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에서 열린 ‘해설이 있는 발레’ 중 김용걸 안무작 ‘산책’의 한 장면. (사진=마포문화재단)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오랜만에 돌아온 ‘알쓸공소’입니다. 오늘은 지난 28일 관람한 발레 공연 이야기입니다. 서울 마포구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에서 열린 마포문화재단의 ‘해설이 있는 발레’입니다. 마포문화재단이 발레 입문자를 위해 지난해 처음 선보인 시리즈입니다.

이날 공연에선 한국 무용수 최초로 프랑스 파리 오페라 발레에서 활동했던 발레리노인 김용걸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해설자로 나섰습니다. 컨템퍼러리 발레 안무가로도 활동 중인 김용걸 교수는 이날 자신의 안무작을 중심으로 창작발레의 세계를 알기 쉽게 소개했습니다.

지난 28일 서울 마포구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에서 열린 ‘해설이 있는 발레’ 중 김용걸 안무작 ‘산책’의 한 장면. (사진=마포문화재단)
사실 이날 공연을 관람한 이유가 있습니다. 내년 러시아 마린스키발레단 솔리스트로 입단 예정인 발레리노 전민철이 출연해서입니다. 발레리노 김기민에 이어 한국인 발레리노로는 두 번째로 세계 최고 수준의 마린스키발레단에 입단하게 돼 주목을 받았습니다. 또한 전민철은 7년 전 TV 프로그램 ‘영재발굴단’에서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 오디션에 도전했던 사연이 알려지면서 대중적 인기도 얻고 있습니다. 이날 공연 또한 전민철의 출연으로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 1000여 석이 매진됐습니다.

전민철은 이날 공연의 첫 무대를 장식했습니다.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출신 김지영 경희대 교수와 ‘산책’을 선보였습니다. 쇼팽의 야상곡(녹턴)을 활용한 2인무로 공원에서 마주친 두 남녀의 설레는 만남을 그리고 있습니다. 안무가 존 크랑코의 드라마발레 걸작 ‘오네긴’에서 모티브를 얻었지만,‘오네긴’과 달리 해피엔딩이라는 점이 색달랐습니다.

40대에서 여전히 왕성하게 활동 중인 발레리나와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차세대 발레 유망주의 조합이 흥미로운 무대였습니다. 김용걸 교수는 전민철, 김지영을 가리켜 파리 오페라 발레의 전설적인 무용수 콤비 루돌프 누레예프-마고 폰테인을 언급하기도 했는데요. 이날 공연에서 두 무용수의 나이 차이는 전혀 느낄 수 없었습니다. 전민철은 대선배와 함께 춤을 추는데도 당당하면서도 탄탄한 감정 연기를 보여줬습니다. 흔들림 없는 점프도 인상적이었고요. 10분 남짓한 짧은 작품이었지만, 전민철의 인기의 이유를 실감하기엔 충분했습니다.

지난 28일 서울 마포구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에서 열린 ‘해설이 있는 발레’. (사진=마포문화재단)
이날 공연에선 ‘산책’을 비롯해 총 6편의 작품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발레 소품 ‘빈사의 백조’의 음악으로 잘 알려진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중 백조를 이용해 흑조의 몸짓을 그린 ‘편견’,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남녀 2인무로 표현한 ‘의식’ 등이 이어졌고요. 10년 전 있었던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발레로 승화시킨 ‘별’, 그리고 ‘호두까기인형’ 1막 중 눈송이 장면도 김용걸의 재안무 버전으로 만날 수 있었습니다. “예술가는 외부의 자극을 받으면 어떻게든 그것을 표현해야 하는 것 같다”는 말이 인상 깊었습니다.

마지막 작품은 의외의 선택이었습니다. 작곡가 스트라빈스키의 문제작 ‘봄의 제전’에 맞춰 안무한 ‘입맞춤’이었습니다. ‘봄의 제전’은 1913년 초연 당시 전위적이라는 이유로 호불호가 갈렸던 음악으로 유명한데요. ‘입맞춤’ 또한 30여 분 동안 무용수들의 격정적인 에너지로 가득했습니다. 고전발레에선 느낄 수 없는 창작발레만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는 무대였습니다. 다만 발레 입문자에게는 다소 어려운 공연이었을 것 같기도 합니다.

이날 김용걸 교수는 작품별로 안무 의도를 소개하면서도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러분이 보는대로 느끼면 됩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비단 창작발레만의 이야기는 아닐 것입니다. 예술이 그런 것이니까요. 예술이 필요한 이유는 익숙한 정답 찾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가 아닐까 생각해봤습니다. 마포문화재단의 ‘해설이 있는 발레’는 내년에도 계속 이어진다고 합니다. 내년엔 또 누가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궁금합니다.

지난 28일 서울 마포구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에서 열린 ‘해설이 있는 발레’ 중 김용걸 안무작 ‘별’의 한 장면. (사진=마포문화재단)
지난 28일 서울 마포구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에서 열린 ‘해설이 있는 발레’ 중 김용걸 안무작 ‘입맞춤’(La Baiser)의 한 장면. (사진=마포문화재단)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