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쫌아는기자들] 테라코인의 신현성, 타다 사태의 여선웅의 사례.. 스타트업의 위기 관리란
@주3회 발행하는 뉴스레터 [쫌아는기자들] 입니다. 유료 가입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58656 무료 가입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3087
@쫌아는기자들의 앞 첨언 : ‘제3자’의 조언이 항상 맞는 건 아닙니다. 입에 쓴 고언이 모두 몸에 좋은 것도 아닙니다. 때론 ‘결과’를 확인하고나서, ‘그래서 그때 판단이 잘못됐다’는 식의 조언도 적지 않습니다. 현장의 스타트업 창업자보다 절실한 사람은 아무데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쓴소리’를 마냥 외면해도 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오늘 김진환 겸직교수의 조언인 ‘대관’이란 주제는 관점이 많이 갈리는 이슈입니다. 쫌아는기자들도 개인적으론 동의하지 않습니다. 외려 반대입니다. ‘적어도 스타트업 창업자는 어떤 문제든 관계로 풀려고 하지 말아야한다’는 쪽입니다. 너무 이상론이긴 합니다만, ‘자신의 비즈니스모델이 규제의 그레이존에 있을 때, 오로지 무기는 진실함과 명확한 논리’라고 생각합니다.대관이 중요하다해도 단지 거들 뿐. 자칫 ‘관계’로 풀려다 상처는 외려 덧난다고. 거기다 가짜 대관(자칭 전문가)도 너무 많구요. 그럼에도 쓴소리는 자꾸 들어야, 뭐라도 배우는 법. 쓴소리 듣는 법은 말을 끊지 않고 끝까지 들을 것, 그리고 스스로에게 한번 더 물어볼 것 입니다.
스타트업에 대한 이미지는 어떠할까. 새로움, 젊음, 유능함, 역동적 등의 단어가 연상된다. 반면, 정치와 정치인에 대한 이미지는 어떠할까. 뻔뻔함, 무능함, 거짓, 무기력, 고루함 등이 떠오를 것이다. 대부분의 스타트업 종사자들은 정치라는 단어를 듣고 싶어하지도 않는다. 정치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 역시 스타트업을 젊은이들의 치기 정도로 여긴다. 평균 연령 차이도 꽤 난다. 스타트업의 경우 C레벨이 30대로 포진되어 있는 경우도 많은 반면, 올해 총선에서 당선된 국회의원들의 평균 연령은 56.3세였다. 그래서 둘은 아예 엮일 일조차 없는 사이처럼 보인다.
하지만 코인이 둘을 매개했다. 몇 년전 코인을 위시한 가상자산이 시장에서 크게 성장하는 가운데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가 등장하면서 스타트업은 정부기관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공대를 나와 기술만 알았던 창업자들은 금융위원회의 존재를 처음 알았고, 이어서 금융위를 관할하는 국회 정무위원회가 무엇인지를 학습했다.
그 당시 가상자산 업계에서 인상적인 장면이 있었다. 티켓몬스터의 창업자이자 테라 코인으로 유명했던 신현성 대표가 국회 정무위원장을 대동하고 블록체인 관련 주요 행사에 나타났던 것이다. 국회 정무위원장이 나타나니 당연히 금융위원회 관계자들도 얼굴을 드러냈다. 신직수 전 중앙정보부장의 손자이면서,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을 고모부로 둔 그가 일찍부터 정치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타다 사태 역시 스타트업 비즈니스에 있어 정치의 중요성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문재인 정부에서 청년소통정책관을 지냈던 여선웅 행정관은 쏘카에 본부장으로 영입되어 국회와의 소통을 담당했다. 이후 그는 직방에서 부사장을 지내며 대관 사업을 총괄했다.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타다 금지법이 통과되자 스타트업은 규제에 대한 집단 쇼크를 받았다.
◇“테라코인의 신현성, 타다 사태때 여선웅의 사례.. 위기 관리의 관점”
이후 스타트업이 유니콘 급으로 성장하면 대관 담당자 채용은 필수가 되었다. 여타 산업에 비해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암호화폐거래소 기업 두나무를 필두로, 규제나 사회적 이슈가 발생한 스타트업은 관료나 국회 보좌진들을 앞다투어 영입했다. 혹은 로펌의 변호사나 고문단 등을 통해 외부 이슈에 대한 자문을 받았다.
이에 대해 가뜩이나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 놓인 스타트업이 대관 분야까지 돈을 써야 하느냐는 볼멘소리가 터져나왔다. 정치권이 국정감사 증인 신청 등을 무기로 스타트업을 길들이고 있다며, 해외에서는 볼 수 없는 광경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과연 그렇게만 볼 일인가. 정부와 국회의 각종 이슈 제기에 대응하는 것을 수비적 대관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정감사 증인에서의 제외, 법률의 개악 가능성 배제 등이 대표적이다. 홍보를 부정 이슈를 최소화하기 위한 위기관리의 관점으로 보는 것과 유사하다.
반면 공격적인 대관 활동은 자사 및 산업의 이익에 맞게 법률 등을 개정하려는 노력이다. 언론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의 로비 시장은 43억 달러 (약 6조원)규모이며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이 로비 시장을 주도한다. 해당 기업들은 보다 자유로운 연구개발과 제품 생산을 하기 위해 규제 완화 활동에 자금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높은 약가를 받기 위해, 허가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각종 로비 활동을 벌이기도 한다.
스타트업도 예외는 아니어서 우버(Uber)의 경우 연방정부 및 주정부를 상대로 광범위한 로비 활동을 펼쳐 낡은 법령으로 인한 법적 걸림돌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 혼자만의 힘으로 벅찰 때는 유사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리프트(Lyft)같은 공유 경제 스타트업과 협력하기도 했다. 또한 긱 이코노미(Gig Economy)를 적극 지지하는 단체들을 파트너로 삼아 적극 활용했다. 뉴욕타임즈 및 CNBC 등 유명 언론사는 우버의 성공적인 로비 성과에 대해 대서특필하기도 했다.
이제 대관 활동은 단순히 정부나 정치권의 요구에 대응하는 작업이 아니라, 기업의 로드맵을 전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고도의 경영 활동으로 재정의될 필요가 있다. 대관 담당자는 대관팀 혹은 대외협력팀에 소속되기도 하지만 전략팀, 기획팀, 홍보팀, 정책팀의 구성원으로서 활동하기도 한다. 선진국의 로비 활동 진화 과정을 보면 앞으로 대관의 활동 내용은 더욱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 가령 내년 예산 677조 4천억원, R&D 예산 29조 7천억원 중 자신의 산업에 얼마의 금액이 투입될지는 대관의 영향력에 달렸다. 새로운 제안을 통해 정부와 국회를 설득해 신규 사업의 법적 근거를 만드는 것도 대관의 할 일이다. 포지티브 규제 시스템을 가진 우리나라에서 더더욱 필요한 역량이다. 그리하여 나는 우리나라 스타트업에게 제안하고자 한다. 적극적인 대관 활동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라!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남 요인 암살용? 北, 자폭무인기로 BMW 폭발 장면 보도
- 중앙지검, 명태균 관련 ‘尹대통령 부부 고발’ 창원지검 이송
- 주말 한파주의보급 추위…다음주까지 초겨울 추위 이어져
- 尹대통령·시진핑, 페루서 2년만에 정상회담
- ‘북한강 시신 유기’ 양광준 동문 “동상 걸린 후배 챙겨주던 사람…경악”
- 권익위 “尹정부 전반기 26만명 집단 민원 해결”
- 수험표 배달에 수험생 수송까지...“콜택시냐” 경찰 내부 불만 나왔다
- Trump team plans to end EV tax credit, potentially hurting Korean automakers
- ‘해리스 지지’ 유명 배우 “미국 디스토피아, 떠나겠다”
- 내년 아파트 공시가격도 시세 변동만 반영...현실화율 69%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