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날고 녹십자 뛰는데… 광동제약, 나홀로 실적·주가 '이중고'

김동욱 기자 2024. 8. 29. 16: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동제약의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최근 유한양행, GC녹십자 등 주요 제약사들의 주가가 고공행진 하는 가운데 광동제약의 주가 그래프는 나홀로 하락세를 보인다.

국내 주요 제약사의 주가 상황을 봤을 때 광동제약 부진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광동제약의 주가 부진 배경은 높은 F&B 사업 비중 대비 낮은 R&D 투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영업익 221억원… 전년비 20.4% 하락
현금흐름 악화… F&B 매출 비중 높고 R&D 투자 후퇴
광동제약이 실적·주가 이중고를 겪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광동제약의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최근 유한양행, GC녹십자 등 주요 제약사들의 주가가 고공행진 하는 가운데 광동제약의 주가 그래프는 나홀로 하락세를 보인다. 광동제약은 삼다수를 비롯한 F&B(식음료) 사업 부문 매출 비중이 높고 연구·개발(R&D) 투자에는 소극적이란 지적이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광동제약은 올 상반기 매출 8253억원, 영업이익 221억원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2.7%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20.4% 줄었다. 광동제약의 지난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323억원, 277억원이다.

현금흐름도 악화했다. 광동제약의 올 상반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310억원 유출됐다. 2023년 상반기 129억원 유입된 것과 차이가 크다. 같은 기간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이 189억원 유입에서 186억원 유출로 바뀐 영향이 컸다. 같은 기간 법인세 납부액이 47억원에서 97억원으로, 이자 지급금이 32억원에서 57억원으로 늘었다.

주가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이날 광동제약 종가는 5980원을 기록했다. 전 거래일 종가(6030원)보다 0.8% 낮고 52주 최저가(5760원·2024년 8월5일 장중)와 비슷한 수준이다. 52주 최고가(8500원·2024년 1월19일 장중)와 견줬을 때는 29.6% 떨어졌다.

국내 주요 제약사의 주가 상황을 봤을 때 광동제약 부진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유한양행 주가는 이날 13만71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전 거래일 종가(13만5500원) 대비 1.2% 높다. 52주 최저가(5만2543원·2023년 10월24일 장중)와 비교하면 160.9% 급등했다.

이날 GC녹십자 종가는 17만1300원으로 전 거래일 종가(16만9500원) 대비 1.1%, 52주 최저가(9만3000원·2023년 10월20일 장중) 대비 84.2% 상승했다.


F&B영업 매출 과반… R&D 투자 비중은 1%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광동제약의 주가 부진 배경은 높은 F&B 사업 비중 대비 낮은 R&D 투자다. 광동제약 F&B영업 부문 매출은 올 상반기 전체 매출의 50.1%를 차지했다. 삼다수 비중이 전체 매출의 32.2%로 가장 높았고 비타500류(9.5%·F&B영업 부문 한정), 헛개차(4.3%), 옥수수수염차(4.1%)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약국·병원 영업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29.5%에 그쳤다. 약국·병원 영업 부문에서 두 자릿수 매출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면역주사제인 가다실(11.7%)이 유일하다. 이어 청심원류(6.2%), 경옥고류(2.2%), 쌍화탕류(2.0%), 비타500류(1.9%·약국영업 부문 한정) 등의 순이다.

광동제약의 올 상반기 R&D 투자 비중은 전체 매출의 1.7%(81억원)에 그쳤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상반기 R&D 투자 금액 비중은 ▲1.4%(56억원) ▲1.7%(64억원) ▲2.0%(90억원)로 집계됐으나 올해 하락 전환됐다. 연구개발 담당조직 인력도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상반기 기준 138명, 141명, 148명 등으로 증가하다가 올 상반기에는 108명으로 급감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 후 제약사의 실적은 미래 제약 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R&D 투자에 달렸다"며 "외국인과 개미들의 투심을 이끌려면 F&B 중심에서 벗어나 차별화된 사업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ase846@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