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김영섭호 1년]신사업 내실은 다지는데... 뒤처지는 통신

양진원 기자 2024. 8. 29. 06: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③ 클라우드 전환은 순조롭지만 통신 본업 경쟁력 악화 아쉬워
[편집자주] 김영섭 대표가 재계 12위 'KT 그룹'의 수장이 된 지 1년이 됐다. 외풍에 시달리며 악화하던 KT는 안정을 되찾고 김영섭표 경영 전략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르고 있다. 조직 효율화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변화를 추진 중이지만 아쉬운 점도 눈에 띈다. 본업인 통신 경쟁력 강화와 미래 먹거리 창출이라는 지상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시각도 많다.

김영섭 대표가 작년 8월30일 KT 분당사옥 취임식에서 향후 KT를 이끌어나갈 청사진을 직원들에게 설명했다. /사진=KT
김영섭 대표는 취임 초기 본업인 통신에서 내실을 다져 전임 대표가 겪었던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천명했지만 현재 LG유플러스의 맹추격에 확고했던 통신 시장 2위 자리가 위태롭다. LG CNS 대표 시절 노하우를 바탕으로 클라우드에선 변화가 시작됐지만 본업에서의 부진을 털어내는 게 과제다.


통신 내실다지겠다더니… LG유플러스에 내준 2위


KT 광화문지사. /사진=KT
KT는 본업인 통신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경쟁사 LG유플러스에 국내 이동통신 회선 점유율 2위를 내줬다. 올해 6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사 기준 이동통신 회선 규모는 LG유플러스가 1984만개를 기록해 1777만개인 KT를 앞질렀다.

LG유플러스가 사물인터넷(IoT) 회선에서 약진하면서 이 같은 결과를 낳았지만 KT 역시 IoT를 챙기고 있다. IoT는 KT와 LG유플러스가 나란히 강조하는 AI 사업에 있어서도 긴밀한 만큼 이러한 상황이 지속돼선 안 된다는 지적이다. 단순히 휴대폰 가입자수가 많다고 안심할 수는 없다.

LG유플러스한테 이동통신 회선 2위 자리를 뺏긴 것은 구현모 전 대표 시절 누적된 결과라는 분석도 있다. 구 대표는 재임 시절 통신 네트워크 먹통 사태 등이 여러 차례 일어나면서 탈통신에 치중하느라 통신사로서의 역량이 실추됐다는 시각이 많았다.

실제로 양사 간 순위가 바뀐 것은 김 대표 취임 직후인 작년 9월이다. 그럼에도 김 대표가 통신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천명한 만큼 1년이 지났는데도 성과가 미미한 것은 뼈아프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 대표는 작년 8월30일 경기도 성남시 KT 분당사옥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KT 사업의 근본인 통신과 ICT의 내실을 다지고 이를 토대로 실질적인 성과를 추구해야 지속성장이 가능하다"며 "숫자를 만들기 위해 적당히 타협하기보다는 사업의 본질을 단단히 하고 미래 성장의 에너지를 쌓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아무리 유·무선 통신 사업이 시장 확장이 어려운 레드오션이지만 여전히 통신사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버팀목"이라며 "이러한 시장에서 조금씩 자리를 내주게 되면 미래 먹거리를 육성하는 일도 차질을 빚게 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김영섭 대표도 이러한 부분을 알고 근본을 놓치지 않겠다고 했지만 실제론 크게 달라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KT, 클라우드 전략 선회 뚜렷… 김영섭 성과 낼까


KT 광화문 사옥. /사진=KT
클라우드 사업은 체질개선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KT는 그동안 클라우드 자회사 'KT클라우드'를 통해 자체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힘을 쏟았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해외 사업자들과 손을 잡고 사업 영토을 확장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KT클라우드를 계열사로 둔 KT의 이 같은 행보가 이례적이라는 시각이 많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CSP)에서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사업(MSP)으로 전환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CSP는 자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MSP는 관리 사업자로서 해당 기업 시스템을 CSP의 클라우드로 이관하는 것을 돕고 운영·관리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KT는 앞으로 해외 기업들의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해 MSP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이러한 전략은 김 대표가 LG CNS 수장 시절 진두지휘했던 클라우드 사업 전환 작업이 배경으로 꼽힌다. 당시 회사 사업구조를 CSP에서 MSP로 바꾸는 데 힘을 쏟았다. LG CNS는 자체 클라우드 사업 대신 AWS 등 외산 CSP와 손잡고 MSP 시장에 주력했다. 내부와 LG그룹사 전체 클라우드 전환을 이끌면서 '클라우드 통합 사업자'로서 경쟁력을 제고했다.

앞으로도 MSP에 주력할 경우 토종 CSP인 KT클라우드를 활용하는 데 제약이 따르는 만큼 김 대표의 고심이 깊다는 분석이 나온다.

양진원 기자 newsmans12@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