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호 국방차관 “한·일 군수지원협정 필요하다” 했다가 정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선호 국방부 차관이 27일 '한·일 군수지원협정(ACSA)'을 체결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가 정부 차원에서는 검토한 바 없다며 발언을 정정했다.
김 차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명박 정부 시절부터 추진되어 왔던 한·일 군수지원협정을 체결하는 데 동의하나"라는 조국 조국혁신당 의원의 질의에 "현재 한·미·일 군사협력과 유사시 대북 억제력을 확보하게 하고 우리의 대비태세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그것이 필요한 조치사항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선호 국방부 차관이 27일 ‘한·일 군수지원협정(ACSA)’을 체결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가 정부 차원에서는 검토한 바 없다며 발언을 정정했다.
김 차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명박 정부 시절부터 추진되어 왔던 한·일 군수지원협정을 체결하는 데 동의하나”라는 조국 조국혁신당 의원의 질의에 “현재 한·미·일 군사협력과 유사시 대북 억제력을 확보하게 하고 우리의 대비태세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그것이 필요한 조치사항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 의원이 재차 “동의한다는 것이냐”고 묻자 “그렇다”고 답했다.
한·일 군수지원협정은 유사시 군수 분야에서 탄약을 비롯해 식량, 연료, 수송·의료 서비스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내용으로, 군사정보를 공유하는 협정인 지소미아(GSOMIA)와 함께 한-일 군사협력을 굳히는 양대 축으로 꼽힌다. 앞서 이명박 정부였던 2012년 한일 양국이 지소미아를 논의할 때 함께 추진됐지만 체결까지 되진 않았다.
한·일 군수지원협정 체결은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이 오랫동안 주장해온 내용이기도 하다. 그는 2017년 9월 조선일보에 쓴 칼럼에서 “작년에 체결한 한·일 정보보호협정으로 양국이 북한에 관한 군사 정보를 공유하는 차원을 넘어 7년간 보류돼 온 한·일 상호군수지원협정을 조속히 체결하여 대북 억지력을 배가하고 한반도의 돌발 상황(contingency)에 공동 대처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김 차관은 이날 오후 국방위 전체회의가 속개된 뒤엔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한·일 상호군수지원협정 체결을) 정부 차원에선 동의하지 않고, 검토하지 않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를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과 논의했었느냐”란 질의엔 “전혀 없었다. (앞으로도 관련 고려가) 없는 것이 국방부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한·일 상호군사지원협정이) 맺어진다면 일본과의 (군사)동맹이라고 봐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신형철 기자 newiro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속보] ‘간호사 진료지원 합법화’ 간호법 국회 통과
- [속보] 양육 안 한 부모는 상속 못 받는다…‘구하라법’ 통과
- 3500년 고대 항아리, 4살 아이 호기심에 ‘와장창’
- 정의선 양궁협회장, 김우진·임시현 등에 포상금 8억원씩
- 8000보 걸으며 변기 닦다 다쳐도…인천공항 ‘충원 모르쇠’
- 한동훈은 의대 중재안을 왜 ‘검찰 내사’ 하듯 준비했을까
- [속보] 해피머니 운영사도 회생 신청…내달 3일 대표자 심문
- ‘딥페이크 성범죄’ 피해지원 요청 3명 중 1명은 미성년자
- 시진핑은 왜 ‘한국은 중국의 일부였다’고 했을까
- ‘윤-한 만찬’ 연기한 대통령실 “의료개혁 입장 변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