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행정통합 희망적… 로봇산업으로 대전 체질 바꿀 것”
〈8〉 이장우 대전시장
우주-바이오-양자 등 첨단산업 육성… 2030년까지 산업단지 1770만㎡ 조성
500만 원 결혼장려금 등 지원금 효과… 올해 4월에 549쌍 혼인, 증가율 1위
머크 등 72개사 2조 원 투자 유치… 표류 중인 대전교도소 이전 해결도
“대전은 첨단산업을 자양분 삼아 성장할 것입니다. 우주항공과 바이오, 반도체, 국방 등 4대 전략사업에 앞으로 양자와 로봇이 더해집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27일 대전시청 10층 접견실에서 진행한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대전은 대덕특구를 바탕으로 미래 먹거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저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대전에는 KAIST를 포함해 21개 대학과 국방과학연구소 등 27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있다. 작년 7월에는 방위사업청장을 포함한 직원 240명이 대전으로 사무실을 옮겼다. 방위사업청은 2027년까지 이전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 시장은 수도권 일극 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충청권 행정통합에 대해 “현재 대전과 충남을 합치는 게 현실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대전과 충남은 한 행정체계로 묶여 있다가 1989년에 분리됐다. 같은 지붕 아래 있다가 나온 만큼 다시 합치기도 쉽고 김태흠 충남도지사도 통합 필요성에 동의한다”고 했다. 다음은 이 시장과의 일문일답.
―대전의 미래 먹거리는….
“서비스업에서 첨단산업으로 체질을 바꿔야 한다. 약자로 설명하면 ABCD+QR이다. 우주항공(Aero space), 바이오(Bio), 반도체(Chip), 국방(Defence), 양자(Quantum), 로봇(Robot)이다. 최근에는 핵융합 에너지까지 추가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 대전 대덕특구에서는 신기술이 많이 나왔다. 지역의 21개 대학, 27개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 잘 닦인 첨단 연구 하부 구조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대전 전체 상장 기업 59개 가운데 25개가 바이오 기업이다. 지역 300여 개 바이오 기업이 지난 5년 동안 기술 수출로만 19조2000억 원을 벌어들였다. 국내 양자 산업도 관련 인력과 기업의 절반 가까이가 대전에 있다. 첨단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동구 삼정지구, 서구 오동지구를 포함해 신규 산업단지 1770만m²을 닦고 있다.”
―올해 동구, 중구가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3월에 발표한 것을 보면 대전 5개 구 중에 동구와 중구가 소멸위험지역이 됐다. 복합적인 이유가 있겠지만 핵심은 일자리가 없어서 사람과 청년이 떠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사람과 청년을 끌어당기려면 질 좋은 일자리가 필수다. 시에서 마련한 청년 500만 원 결혼장려금, 부모 급여 등도 효과가 나오고 있다. 올해 4월 기준 대전 지역 혼인은 549건이다. 전년 같은 달에는 381건이었다. 지원금 정책 시행 전후로 44.1%가 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혼인 증가율을 기록했다. 일자리 창출과 함께 만남부터 아이를 낳고 키우는 모든 주기별로 맞춤형 정책을 마련하겠다.”
―전반전이 끝난 임기를 자평한다면….
“대전의 체질 개선과 경제 규모를 키우는 데 집중했다. 지난해 3월 530만m² 규모의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이 지정됐다. 시 역대 최대 규모로 입주 수요도 100% 확보했다. 생산유발효과는 6조2000억 원, 일자리도 3만5000개가 생길 것으로 본다. 기획발전특구, 바이오 특화단지도 지정돼 성장동력을 마련했다. 2027년까지 방위산업청이 경기 과천에서 대전으로 완전히 옮기면 직원 1600여 명이 대전에서 생활한다. 다국적 제약회사 머크를 포함해 72개사 2조1894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도 이뤄냈다. 전국 최초로 창업, 벤처기업 대상 공공투자기관인 대전투자금융을 설립해 2030년까지 5000억 원을 운용할 계획이다. 도시철도 2호선 사업도 1996년 정부 최초 기본계획 승인 후 28년 만에 수소 트램 차량 제작에 들어갔다.”
―충청권 행정통합 어디까지 가능한가.
“마음 같아서는 충청권 4개 시도가 뭉쳐 지방정부연합 형태가 돼야 하는데 서로 생각이 같지 않은 게 사실이다. 현재 충청권에서 합쳐질 가능성이 높은 곳은 대전과 충남이다. 대전과 충남은 원래 한 행정체계로 묶여 있다가 1989년 갈라졌다. 김태흠 충남도지사와도 ‘두 지역이 뭉쳐야 산다’는 데 합의했다. 충남과 대전이 합쳐지면 인구가 357만 명이 넘는다. 예산도 커지고 충청 정치력도 힘을 받는다. 지역에 대한 중복 투자도 피할 수 있다. 대전의 특구 연구 성과, 충남의 산업용지 등 지역 강점이 뭉칠 수 있다. 다만, 성급한 통합은 안 된다. 행정통합을 어떻게 해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지, 또 통합했을 때 장단점을 꼼꼼히 파악하는 선행 연구가 두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다.”
―여당을 이끄는 한동훈 대표를 어떻게 보나.
“당 대표가 됐다는 것은 일단 대중적인 지지를 확보한 셈이다. 당에 많은 원로나 중진의 조언을 잘 들었으면 좋겠다. 특히 대통령실과의 관계를 매끄럽게 풀 필요가 있다. 당과 용산이 화합해 한 몸처럼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당을 위해서는 젊고 유능한 신진 세력이 정치판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쟁력 없는 지역에는 새로운 인물을 앉혀야 한다. 균형발전의 필요성을 체감하려면 지역의 어려움을 충분히 이해하고 꾸준히 공부해야 한다.”
―집권 후반기를 앞둔 윤석열 정부에 대한 평가는….
“현재 대통령이 진취적인 개혁 조치를 하기가 쉽지 않다. 거대 야당이 일방적으로 국회를 운영하고 있다. 비민주적 국회 운영 상황에서 대통령이 할 수 있는 건 제한적이다. 국익에 부합되지 않는 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는 게 마땅하다. 대통령은 국민과도 함께 가야 한다. 현장에 더 나가서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현재 추진 중인 연금, 의료, 교육, 노동, 저출생 대응을 포함한 다양한 개혁안은 빠르게 진행해야 한다.”
―남은 임기 어디에 집중하나.
“가깝게는 대전교도소 이전을 해결해야 한다. 지금 교도소는 5조2000억 원을 들여 첨단산업단지 등으로 개발하는 도안 3단계 사업용지 안에 있다. 교도소는 2년 전 유성구 방동으로 이전 결정이 됐지만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낮아 사업이 멈췄다. 올해 2월 대통령을 만났을 때도, 지난달 최상목 부총리를 만났을 때도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강력히 요청했다. 크게는 일자리가 풍부한 대전을 만드는 데 역량을 모을 것이다.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세계적인 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하겠다.”
이장우 대전시장 프로필 |
△충남 청양(58) △대전 대전고, 대전대 행정학과 △대전대 대학원 행정학 박사 △대전 동구청장(2006∼2010년) △제19, 20대 국회의원(2012∼2020년) |
대전=김태영 기자 live@donga.com
대전=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지방 간 서울대 진학률 차이, 대부분 학생 거주지 영향”
- [사설]내년 긴축 살림이라는데 나랏빚은 81조 더 쌓인다
- [사설]尹 명예훼손 수사에 최소 3176명 주민번호-주소 뒤진 檢
- [사설]여야가 모두 “19세기 관행” “괴물” 질타한 대한체육회
- [단독]경찰, 빅5 전공의 대표 출석 요구…전공의 단체 “한동훈안 못 받아들여”
- 딥페이크 전방위 확산…여야 뒤늦게 ‘단속 입법’
- ‘간호법’ 국회 복지위 소위 통과…내일 본회의 의결
- “국민 절반이 ‘장기적 울분’ 상태…30대 가장 심각”
- MBC 이어 KBS도…야권 이사 5명, 신규 이사 임명효력 정지 소송
- 깊은 상처 안고 돌아온 고국, 따뜻한 희망의 한끼[동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