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401> 군대가는 사람을 위해 시 읊은 당나라 시인 하지장

조해훈 시인·고전인문학자 2024. 8. 27. 19: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찍이 절맥새를 지나왔는데(常經絶脈塞·상경절맥새)/ 다시 애끊는 눈물을 본다네.

아들을 군대에 보내는 부모가 흘리는 애끊는 눈물이다.

그러니 위 시의 부모도 군대에 아들을 보내면 잃는다는 심경이었으리라.

시대를 막론하고 아들을 군대에 보내는 부모의 심정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시 애끊는 눈물을 본다네

- 復見斷腸流·부견단장류

일찍이 절맥새를 지나왔는데(常經絶脈塞·상경절맥새)/ 다시 애끊는 눈물을 본다네.(復見斷腸流·부견단장류)/ 지금 아들을 보내며 이별하고 있으니(送子成今別·송자성금별)/ 지난날의 근심을 일어나게 하는구나.(令人起昔愁·영인기석수)/ 농 지역 구름은 맑음 속에 비 내리고(隴雲晴半雨·농운청반우)/ 변경의 풀은 여름에도 먼저 가을이 든다네.(邊草夏先秋·변초하선추)/ 만 리에 걸쳐 장성을 붙여놓아(萬里長城寄·만리장성기)/ 한 제국 때는 근심이 없었다네.(無貽漢國憂·무이한국우)

위 시는 중국 당나라 시인 하지장(賀知章·659~744)의 ‘군대 가는 사람을 전송하다’(送人之軍中·송인지군중)로, ‘전당서(全唐書)’에 있다.

하지장은 당나라 현종 때 태자빈객·비서감 등의 벼슬을 50여 년 지낸 후 86세 나이로 고향인 절강성으로 귀향했다. 그는 장욱(張旭)·회소(懷素)와 더불어 ‘당초삼걸(唐草三傑)’로 일컬어지고, 또 이백·이적지(李適之)·왕여양(王汝陽) 등과 더불어 ‘취팔선(醉八仙)’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시는 절구가 뛰어났다는 평을 듣는데, 지금은 약 20수만 전한다.

첫 구의 절맥새는 만리장성을 말한다. ‘史記·蒙恬專’(사기·몽념전)에 나온다. 시인은 오래 고위직 벼슬을 하였으니 만리장성을 둘러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또 이별의 눈물을 흘리는 장면을 목격한다. 아들을 군대에 보내는 부모가 흘리는 애끊는 눈물이다. 아마 그 아들은 군대에서 변경을 지키는 만리장성 쪽에 투입될 모양이다. 현종 때 돌궐이 자주 침범했다. 군대 가면 언제 죽을지 모르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그러니 위 시의 부모도 군대에 아들을 보내면 잃는다는 심경이었으리라.

필자의 지인이 아들을 군대에 보낸다고 한다. 요즘은 복무기간도 짧고 군대 내 민주화도 많이 이루어졌다. 어젯밤에도 목압마을 마을회관에서 목압다리까지 산책했다. 최근 허리가 아파 애를 먹는다. 필자는 군 복무 중 직업군인인 상관으로부터 대학 다니다 입대했다는 이유로 장시간 폭행 당했다. 허리를 많이 맞아 그 후로 허리가 한 번씩 심하게 아팠다. 시대를 막론하고 아들을 군대에 보내는 부모의 심정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