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진학에 거주지 효과 92%" 이러니 지방 떠날 수밖에 [사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모의 경제력과 거주지가 상위권 대학 진학률을 좌우하는 불평등 해소를 위해 '지역별 비례선발제'를 도입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7일 '입시 경쟁 과열로 인한 사회문제와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소득계층과 거주지역에 따른 사교육비 부담 능력 차이가 대학 진학률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모의 경제력과 거주지가 상위권 대학 진학률을 좌우하는 불평등 해소를 위해 '지역별 비례선발제'를 도입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7일 '입시 경쟁 과열로 인한 사회문제와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소득계층과 거주지역에 따른 사교육비 부담 능력 차이가 대학 진학률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요 대학 진학생의 서울 쏠림이 특히 심각한데, 이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면 지방소멸도 막을 수 없다.
한은이 주목한 것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대물림 심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가운데 소득 최상위층(5분위)의 상위권 대학(상위 8개 대학·의대·치대·한의대·수의대) 진학률은 최하위층(1분위)의 5.4배에 달했다. 2018년 서울대 진학생 중 서울과 강남 3구 출신은 각각 32%와 12%를 차지했다. 이 두 집단이 전체 일반고 졸업생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16%·4%)보다 훨씬 높다. 어린 시절 수학성취도 등 잠재력과 거주지역 효과를 실증분석한 결과 서울과 비서울 간 서울대 진학률 격차의 92%는 부모 경제력과 사교육 환경 등을 포괄하는 거주지역 효과에 기인한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이 같은 진학률 격차는 사교육 환경이 우수한 지역에 거주하려는 수요 증가로 이어져 수도권 인구 집중과 주택가격 상승을 유발한다. 급증하는 사교육비는 젊은 세대가 결혼과 출산을 꺼리는 원인이기도 하다.
한은은 대안으로 대학이 지역별 학령인구 비율을 반영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지역별 비례선발제 도입을 제시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정부 정책이나 법 제도에 손대지 않더라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교수님들이 결단만 하면 된다"며 "이렇게 되면 한은이 금리를 조정하는 것보다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더 안정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지방소멸은 지방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인 만큼, 한은의 제안과 같은 파격적인 시도를 대학들이 검토해볼 만하다. 정부도 대학이 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혜택을 줘야 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엉덩이 민망, 창피해 죽는줄”…전종서 따라하던 여성들 ‘돌변’, 왜? - 매일경제
- “팔다리가 코끼리처럼”…서정희도 겪은 항암 부작용, 림프부종 의심? - 매일경제
- “한달 만에 1억 뛰었다”…서울 노도강 아파트값 제친 경기 ‘이 지역’ - 매일경제
- [단독] 美웨스팅하우스 체코에 ‘한국형 원전’ 항의했다는데···체코전력공사 “美 이의제기
- 후진하다 다친 피해자에 합의금 1억 준다했는데…보험사는 ‘거절’ 어쩌나 - 매일경제
- “전단지 보다 싸게 드릴게요”…‘이것’ 놓고 대형마트 최저가 전쟁, 왜? - 매일경제
- “답답하고 분하지만 꾹 참는다”...국민 절반이 울분상태, 30대가 가장 심각 - 매일경제
- 전기차 화재에 나락가나 했는데…2차전지株 다시 활활, 왜? - 매일경제
- “11억 있었으면”…남편 강남역 낙찰 보도 해명한 아내 김윤아, 사실은 - 매일경제
- 손흥민, PL 2R ‘이주의 팀’ 선정…“솔란케 결장→ 최전방 공격수로 뛰며 에버턴전 멀티골 작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