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왕서방은 돈 버는데...” 해외직구 10년간 4배 껑충, 역직구는 축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10 년 간 해외 직구 규모가 4.1배 늘어난 반면 역직구는 2019년까지 상승하다가 꺾이는 부침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 역직구(직접 판매)는 2014년 7000억원에서 6조원 규모까지 성장했으나 2019년 성장세가 꺾이면서 2023년 1조 7000억원으로까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10 년 간 해외 직구 규모가 4.1배 늘어난 반면 역직구는 2019년까지 상승하다가 꺾이는 부침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발간한 ‘2024 유통물류 통계집’에 따르면 2014년 1조 6000억원이었던 온라인을 통한 해외 직구(직접 구매) 규모가 2023년에 6조 7000억원으로 4.1배 늘어났다.
반면 해외 역직구(직접 판매)는 2014년 7000억원에서 6조원 규모까지 성장했으나 2019년 성장세가 꺾이면서 2023년 1조 7000억원으로까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직구시장은 의류·패션잡화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퀀텀점프를 이뤘지만 역직구는 K뷰티 관련 품목 판매가 늘어나다 중국 한한령(限韓令)으로 꺾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동일 한국유통학회 회장 역시 “2021년까지만 해도 아마존, 베스트바이 등 미국 쇼핑몰을 중심으로 국내 소비자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고 직구에서 미국 비중이 가장 높았다”며 “알리 · 테무 등 C 커머스 플랫폼의 글로벌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국내 진출이 본격화됐던 2023 년부터는 중국 비중이 높아지면서 직구의 성장폭이 더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마종수 한국유통연수원 교수는 “전체 역직구에서 중국 비중이 가장 높은 상황에서 품목으로는 화장품이 성장에 가장 큰 역할을 해온 가운데 2017년 한한령으로 중국 정부가 한국관광 뿐만 아니라 화장품·식품·콘텐츠 구입을 제한하면서 중국 화장품 역직구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고 분석했다.
실제 중국 역직구에서 화장품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80~90%에 달한다. 화장품 품목의 역직구 규모가 2020년 4조 9000억원을 정점으로 큰 폭으로 감소한 이후 회복하지 못하고 있고 중국 전체 역직구도 이와 동일한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10 년간 직구 품목 순위는 1위 의류·패션, 2위 음·식료품으로 부동의 1·2위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품목들도 순위에 큰 변동은 없었으며 거래 규모만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다.
역직구도 1위 화장품, 2위 의류·패션 품목 순위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K문화 확산에 따라 음반·비디오를 포함한 뷰티·의류·문화 등 K 브랜드 관련 품목의 거래 규모가 커지면서 순위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딘트 하이엔드 브랜드 켈리신, 25SS 서울 패션위크 참여
- 오세훈, 필리핀 가사관리사 “E-7 비자에 ‘가사사용인’ 추가해야”
- 검찰, ‘손태승 친인척 부당대출’ 우리은행 압수수색
- 에일뮤직 히스(Hiss), 한국인 최초 FL스튜디오 파워유저 등록
- [속보]“더이상 환자 못 받아”...응급실 진료제한 속출
- "회장님이 사고쳤다"...난리 난 '이 회사'
- 와르르 무너진 ‘공든 탑’...세계 1위 회사의 추락
- "외국인 없인 안 돌아가요"···기업 73%, '외국인 채용 하고 싶다'
- 이마트 최대 실적, 트레이더스가 다했다
- 주식으로 돈벌기 힘드네...트럼프발 악재에 '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