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저출산에 외신 '욜로 세대' 주목…"당장의 내 행복이 중요해"

권영미 기자 2024. 8. 27. 1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이 자신의 성공과 쾌락에 가장 가치를 두는 욜로(YOLO·인생은 한 번뿐 의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관련이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7일 분석했다.

통신에 따르면 사회학자들은 한국의 20대와 30대의 욜로 스타일이 둥지를 틀기에 적합하지 않다면서 저출산을 설명했다.

하지만 욜로 라이프스타일이 아니라 재정적 어려움이 한국인이 가장 자녀를 갖지 않기로 한 큰 이유라는 주장도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이터, 한국 저출산 원인 분석…"재정적 어려움보다 욜로 사고"
한국인들 '물질적 웰빙이 삶 의미있게 한다' 여론 조사 답변 최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의 한 쇼룸. <자료 사진> (안다르 제공) 2023.11.27/뉴스1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한국의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이 자신의 성공과 쾌락에 가장 가치를 두는 욜로(YOLO·인생은 한 번뿐 의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관련이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7일 분석했다. 통신에 따르면 사회학자들은 한국의 20대와 30대의 욜로 스타일이 둥지를 틀기에 적합하지 않다면서 저출산을 설명했다.

한국은 수년간 출생률 급감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보조금 정책을 써왔다. 하지만 거의 효과가 없었다. 성수동 중고 패션 축제에서 만난 28세의 패션 인스타그래머이자 가수를 꿈꾸는 한 여성은 자신의 지출이 "주로 옷과 여행에 대한 욕구에 따라 결정되어 결혼과 출산을 위한 예산이 거의 없다면서 "나는 욜로에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나 자신을 보상하기 위해 무언가를 하고 나면 매달 저축할 돈은 거의 없다. 결혼은 언젠가 할 수 있겠지만 지금 행복해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사회학자들은 20대와 30대 한국인(Y세대와 Z세대로 간주함)이 다른 나라의 같은 연령대나, 한국의 다른 인구층에 비해 더 많이 쓰고 덜 저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여대 사회학과 정재훈 교수는 "이들은 정착하고 아이를 낳는 불가능한 목표에 집중하기보다는 자신의 성공에 더 힘을 쓴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30대의 저축률은 5년 전 1분기의 29.4%에서 올해 1분기 28.5%로 감소했지만 다른 모든 연령대의 저축률은 같은 기간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안 20대와 30대는 백화점과 일류 호텔에서 가장 많이 지출한 연령대를 차지했다. 또 이들의 여행 지출은 지난 3년 동안 33.3%에서 40.1%로 증가했다.

현대카드 자료에 따르면 20대가 고급 백화점에서 지출하는 비중은 5월까지 3년 동안 거의 두 배인 12%로 증가했지만 다른 모든 연령대의 비중은 감소했다. 경기가 나빠 소비가 얼어붙은 가운데 젊은 층의 소비만 증가했다는 의미다.

한 예로, 인기 있는 인스타그램 명소인 서울 드래곤 시티 호텔에서 제공하는 9만원짜리 무제한 딸기 디저트는 지난해 겨울 대비 매출이 150%나 급증했는데, 호텔 측이 가격을 12.5% 인상한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다.

한국인의 고급 취향 덕에 한국은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1인당 지출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가 되었고, 대형 럭셔리 브랜드가 가장 입점하고 싶어 하는 국가가 됐다.

반면 호주 연방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의 25~29세 젊은이는 생활비 압박으로 인해 2024년 1분기에 전년 대비 지출을 3.5% 줄였다.

하지만 욜로 라이프스타일이 아니라 재정적 어려움이 한국인이 가장 자녀를 갖지 않기로 한 큰 이유라는 주장도 있다.

리서치 회사 'PMI Co.'가 5월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800명 중 약 46%가 자녀를 낳지 않기로 한 결정의 이유로 직장 불안정성이나 교육 비용을 꼽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대와 30대의 연 소득이 작년에 2.0%만 증가했는데, 이는 모든 가구의 4.5% 증가보다 더 낮은 수치다.

하지만 정교수는 젊은이들이 더 즉각적인 쾌락에 집중하기에 정부의 보조금 기반 출산 장려 정책에 반응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재정적 어려움이 가장 문제라면 왜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효과가 없겠냐는 것이다.

미국 퓨 리서치 센터가 2021년 선진국 17개국을 대상으로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 게 무엇이냐'를 물은 설문 조사에서 한국은 '물질적 웰빙'이라고 가장 많이 대답했다. 로이터는 물질적 웰빙 답변이 1위를 차지한 유일한 국가가 한국이며 다른 나라에서는 '가족'이나 '건강'이 가장 많았다고 전했다.

ky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